현대산업개발은 지난해 강원도 원주 소재 오크밸리CC의 경영권을 인수했다. 

[한스경제=박대웅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은 지금 변신 중이다. 과거 건설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벗어나 아시아나항공 인수로 항공업과 호텔과 리조트, 관광 등을 연계한 레저사업 등 사업 다각화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항공사업의 본류인 아시아나항공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악재 등 다양한 변수로 답보 상태인 반면 레저사업은 순항 중이다. 지난해 대형 골프·스키리조트 한솔오크밸리의 경영권을 인수하는 등 레저사업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문제는 시너지다. 벌써부터 잡음이 들리고 있다. 일부 소비자들은 현대산업개발이 영업적자 해소를 위해 한솔개발로부터 인수한 오크밸리의 그린피 등 이용 요금을 대폭 인상했다는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 기습적인 요금 인상에 반발하는 회원들

HDC리조트가 인수한 오크밸리CC(강원도 원주 소재)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오크밸리, 오크힐스 등 골프장 그린피를 최대 76.5%(가족회원) 인상했다. 정회원가는 동결했지만 주중회원가는 7만5000원에서 9만5000원으로, 가족회원가는 주중 7만5000원·주말 8만5000원에서 주중 11만 원·주말 15만 원으로 올렸다. 비회원가는 주중 18만 원·주말 23만 원에서 주중 21만 원·주말 26만 원으로 각각 높였다. 여기에 오크밸리 오크·메이플코스는 2월부터 팀 그린피 6만 원이 추가됐다. 

오크밸리CC 회원들의 불만은 거세다. 회원들은 일방적이면서 기습적인 그린피 인상이 회원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그러면서 HDC리조트가 수익 증대에 유리한 회원들만 챙기고 불리한 회원들을 내치는 이른바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부킹을 받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시하고 있다. 

한 회원은 "HDC현대산업개발 인수 후 부킹하기가 너무 어렵다. 회원권은 수억 원짜리 종이조각에 불과하다"고 한탄했다. 또 다른 회원은 "울며 겨자 먹기로 여행사를 통해 더 비싼 금액을 내고 예약하는 지경"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해당 논란에 대해 오크밸리 관계자는 본지와 통화에서 "현대산업개발이 경영권을 인수했다고 하더라도 기존 회원에 대한 혜택은 편익은 변함없다"면서 "소비자 불만 해소를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산업개발은 2014년부터 계속된 부동산 경기 호황 속에 충분한 자금 유동성을 확보했다. 연합뉴스

◆ 정말 업황부진때문일까…실탄 두둑한 HDC

현대산업개발의 곳간은 두둑하다. 2014년부터 주택분양 시장의 활황세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현대산업개발이 인수하기 전 오크밸리의 적자폭이 컸고, 최근 경기침체와 코로나19 등 여파로 관광 업황이 좋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자금력이 충분하다. 

1일 현재 현대산업개발이 쌓아 논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5337억 원이다. 여기에 빠른 시간 내 현금화가 가능한 단기금융상품(4806억 원)까지 더하면 동원 가능한 현금은 1조 원에 달한다. 여기에 순환출자 해소를 위해 매각해야 하는 HDC, HDC현대산업개발, 부동산114, HDC영창뮤직 등 계열사 지분을 더하면 현대산업개발의 자금 유동성은 충분히 여유 있다. 

현재 오크밸리를 운영 중인 HDC리조트의 재무상황은 좋은 편이 아니다. 통상 적정부채비율이 200% 이하임을 생각할 때 657.85%인 부채비율은 높은 편이다. 하지만 부채비율이 높다고 해도 실적이 좋고 잠재성장력이 높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현대산업개발이 인수한 오크밸리는 회원제 골프장(36홀)인 오크밸리CC, 대중제 골프장(9홀)인 오크크릭GC, 콘도 A·B동 등으로 구성돼 있다. 스키빌리지는 회원제 골프장(18홀)인 오크힐스CC, 콘도 C·D동, 스노파크(스키장) 등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아직 개발되지 않은 유휴용지는 약 260만㎡로, 축구장 약 300개를 지을 수 있는 방대한 크기다. 막강한 현금 유동성을 갖춘 현대산업개발이 향후 사업확장으로 실적 개선을 이룰 여지가 충분하다. 결국 넉넉한 자금 유동성을 바탕으로 사업 다각화를 이뤄 실적을 개선하고 적자폭을 줄이며 시너지를 내는 게 당면 과제다. 기습적인 요금 인상 등으로 소비자의 불만을 사는 건 자충수가 될 수밖에 없다. 
 

박대웅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