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포츠경제=양지원 기자] 영화 ‘소리도 없이’는 두 남자가 예기치 못하게 유괴사건에 얽히게 되면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다. 기존의 범죄영화와 다른 흐름과 구성으로 흘러가 독특한 신선함을 자아내지만 작품의 의도를 파악할 수 없는 모호한 매듭이 아쉬움을 남긴다.

‘소리도 없이’는 유아인과 유재명의 조합으로 기대를 모은 영화다. 단편영화 ‘서식지’를 연출한 홍의정 감독의 입봉작이다.

주인공 태인(유아인)과 창복(유재명)은 범죄조직의 하청을 받아 전문적으로 시체 수습을 하며 살아간다. 범죄조직의 청소부인 이들은 어느 날 단골 범죄조직 실장의 부탁으로 유괴된 11살 아이 초희(문승아)를 맡게 된다. 실장은 아이의 부모에게 돈을 받을 때까지만 아이를 맡아 달라 부탁한다. 그런데 다음 날 실장은 시체가 되고 이들은 졸지에 ‘유괴범’이 된다.

창복은 동생과 둘이 살고 있는 태인에게 초희를 맡을 것을 부탁한다. 말을 하지 않는 태인은 어쩔 수 없이 초희를 집에 데려간다. 영리한 초희는 집에 돌아갈 날만을 기다리며 태인의 집을 청소하는가하면 동생과도 잘 지내는 모습을 보인다.

‘소리도 없이’는 선악 구도로 나뉜 기존 범죄영화와 다른 틀을 지닌다. 태인과 창복은 범죄에 협조하며 살아가지만 성품은 악인과는 거리가 멀다. 창복은 신실한 믿음을 갖고 있고 태인 역시 목소리는 내지 않지만 창복의 지시에 따라 성실하게 일하는 인물이다. 범죄영화 속 힘을 지닌 캐릭터들과 달리 ‘소리가 없이’의 태인과 창복은 지극히 평범하게 일상적이다. 객관적인 도덕이 아닌 자신이 처한 상황에 묵묵하게 일상을 살아갈 뿐이다.

그래서일까. 범죄 영화 속 주로 쓰이는 어두운 색감 대신 파스텔 톤의 밝은 색감을 사용하며 일상적인 풍경을 극대화했다. 묵직한 분위기 대신 곳곳에 삽입된 가벼운 유머가 눈에 띄기도 한다. 기존 범죄물과 차별화를 꾀하려는 감독의 의도가 엿보인다.

영화 '소리도 없이' 리뷰.

구원하려는 자와 그를 의심하는 소녀의 모습이 영화의 축이다. 동시에 범죄의 가해자와 피해자인 이들의 아이러니한 관계는 보는 이들로 하여금 선택과 도덕성, 사회의 편견과 모순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그러나 정작 급하게 마무리되는 엔딩은 아쉬움을 자아내며 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메시지가 무엇이지 역시 간파하기 힘들다. 창복 캐릭터 역시 아쉬움이 남는데, 갑작스럽다 못해 허무한 파국이 싱겁기까지하다.

강렬함 대신 택한 일상적인 전개와 톤 역시 지루함을 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범죄영화의 틀에 익숙한 관객이라면 ‘소리도 없이’에 몰입하기는 힘들 듯하다. 특히 초반부의 신선한 전개는 후반부까지 가지 못한 채 한계에 도달해 흐지부지되고 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사 하나 없이 모든 걸 표정으로 표현한 유아인의 연기가 눈에 띈다. 살을 찌우고 파격적인 비주얼로 태인에 몰입하며 영화의 빈틈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창복 역으로 새로운 캐릭터를 보여준 유재명 역시 비중에 비해 출중한 연기를 보여준다. 러닝타임 99분. 10월 15일 개봉. 15세 관람가.

사진=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제공 

양지원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