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서프라이즈' GS건설, 연결기준 3분기 영업이익 12.1% 증가
주택·신사업 부문 결실…타 상장 건설사도 호실적 전망
GS건설 제공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건설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업황 부진을 극복하는 중이다. GS건설이 ‘깜짝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다른 상장 건설사 또한 호실적이 예상된다. 정부의 공급 확대 기조 전환과 맞물려 신사업 투자 등 포트폴리오 확대가 결실을 맺는 모양새다.

20일 GS건설에 따르면 연결기준 3분기 매출은 2조3201억원,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103억원, 96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매출과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9%, 43.9%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2.1% 증가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신규 수주는 전년 대비 6.4% 늘었으며 영업이익률은 9.1%로 업계 최고 수준을 달성했다.

건축·주택 부문과 신사업 부문이 견조한 영업이익을 이끌었다. 각각 매출 총이익률 23.5%, 18.8%를 기록했다. 신규 수주는 1분기 2조2690억원, 2분기 2조4170억원에 이어 3분기 2조8270억원으로 증가세를 나타냈으며 신사업 부문 3분기 매출은 1890억원, 신규수주 2710억원으로 나타났다.

GS건설 측은 “올해 인수한 글로벌 모듈러 업체 폴란드 단우드사와 영국 엘리먼츠 유럽 실적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며 매출과 신규 수주 모두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예상 밖 호실적에 증권가도 놀라는 눈치다. 코로나19로 인한 업황 부진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성과를 거뒀기 때문이다.

박용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 규제 속에서도 주택 분양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재건축에서 자체·외주 확대로 안정적인 캐쉬카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윤호 DB금융투자 연구원또한 “코로나19와 태풍 등 날씨 영향으로 국내외 현장 진행률이 둔화하면서 매출액이 부진했지만 주택 부문에서 준공정산이익이 증가하는 등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GS건설이 이달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택지개발지구에 분양 예정인 ‘별내자이 더 스타’ 투시도. /GS건설 제공

업계 실적 발표가 시작되는 가운데 대우건설, 현대건설 등 다른 주요 건설사 또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올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대우건설은 연결기준 3분기 매출 2조원, 영업이익 1013억원으로 현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것으로 추정한다”며 “현대건설 또한 매출 4조600억원, 영업이익 1644억원으로 낮아진 시장 예상치에 부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적 예상치 상회의 주요 원인은 건축·주택 부문 원가율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성정환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규제로 인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준공정산이익과 양호한 원가율 관리로 3분기 건축·주택 매출 총이익률(GPM)은 23.5%를 기록했다”며 “3분기 누적 분양물량은 약 2만2000세대로 기업 전망치(가이던스) 달성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선택한 신사업 투자도 효과를 보고 있다.

박용희 연구원은 “중장기적으로 주택은 외주·자체 사업 위주로 캐쉬카우 역할을 할 것이고 신사업이 성장 드라이버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신사업은 허태수 GS그룹 회장이 주도하고 허윤홍 GS건설 신사업 대표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어 일시적이지 않고 꾸준히 진행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불어닥친 전세난도 업계에는 호재다. 가격이 상승하고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하는 등 전세시장 이상현상에 대해 여당이 공급 확대 기조 전환 의사를 밝히면서 주택사업 부문은 선전이 예상된다. 앞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예전 부동산 정책에 대한 반성에서 새로운 접근을 시작해야 한다”며 “집을 갖고자 하는 사람에게 희망을 드리고 다양한 주거 수요에 부응하는 주택 공급 확대 방안, 1가구 장기보유 실거주자에게 세금 등에서 안심을 드리는 방안을 중심으로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전세 가격 급등에 따라 공급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책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전세 가격 상승 추세는 오는 2022년까지 지속될 전망이며 결론적으로 전세 가격 안정화를 위한 공급 확대 정책으로 선회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김준희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