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약물 내성 생긴 파킨슨병 환자들, 뇌심부자극술 치료
증상·약물 복용량 감소…수술 이후 자극 방향·강도 조절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전문기자] 파킨슨병은 움직임이 느려지는 서동증, 관절이 굳어지는 강직, 가만히 있어도 몸이 떨리는 진전 3가지 증상이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병이다.

건국대병원 신경외과 조경래 교수의 도움말로 노년의 삶을 위협하는 파킨슨병에 대해 알아봤다.

조경래 교수/제공= 건국대병원

파킨슨병은 뇌안의 도파민이라는 신경전달 물질이 감소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도파민이 포함된 약물을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많이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약들이 그렇듯 약물을 복용하다 보면 약제에 내성이 생기게 돼 효과가 줄 게 된다. 다른 약물 내성과는 달리 약효가 주는 것 뿐 아니라 약물로 인해 체내에 도파민이 너무 과해지면 파킨슨병과 반대로 의도치 않게 움직임이 과하게 발생하는 이상 운동증이 생길 수 있는데 이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원래 증상인 서동, 강직보다도 더 불편해하는 증상이다.

약물복용 초반에는 약효가 장시간 유지되지만 복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약물 효과가 빨리 감소하게 된다. 이 때 약물 농도를 올리면 이상 운동증이 심해지고 농도를 줄이면 본래의 증상들이 심해져 약물로 증상을 조절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태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뇌심부자극술이란 뇌 안쪽 깊은 곳에서 몸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작은 핵에 가느다란 전극을 삽입해 뇌에 직접적으로 전기자극을 주는 수술법이다.

대개 양쪽 이마 뒤쪽으로 3~4cm 정도의 절개를 한 뒤 가느다란 미세전극을 삽입하면서 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듣게 된다. 가장 적합한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에 1mm 정도 굵기의 영구 전극을 삽입한 후 가슴 부위 자극 발생기(배터리)를 삽입해 연결한다.

조경래 교수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 조절 뿐 아니라 약물의 복용량이 감소하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효과가 적을 경우 수술 후 자극 방향 및 강도를 조절해 증상을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며, “자극 강도에 따라 저림이나 말이 어눌해지는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나 대부분 자극 조절로 해소된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또 “뇌심부 자극술은 파킨슨병 뿐 아니라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손떨림, 머리 떨림, 근긴장 이상증 등 많은 이상 운동 질환에서 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약물로 조절이 힘든 뇌전증, 치매, 우울증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