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6번째 풍력발전기 화재...정부 차원의 명확한 원인 규명 못 해
민간·정부 통합안전점검기준 마련하고 대책 내놔야
인천 영흥화력발전소 내 풍력발전기 화재.(사진=연합)

[한스경제=양세훈 기자] 풍력발전기 화재가 반복되고 있으나 아직 제대로 된 원인규명이나 재발방지 대책이 없어 우려된다. 풍력발전 화재는 막대한 재산 피해와 대형 산불과 인명피해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와 더불어 풍력발전의 원인 불상의 화재는 정부의 탄소중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저변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풍력발전은 지난해 말을 기준, 1.6GW 규모로 전체 발전설비 중 약 1.3%에 불과하지만 화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정부의 제9차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르면 풍력발전은 2034년에 총 24.9GW 규모로 15배 이상 증가할 예정으로, 이는 매년 1.6GW 규모의 신규 설비가 확충돼야 하는 수치다. 설비시설 기준으로 매년 평균 6건의 풍력발전 화재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순 계산이 나온다. 

실제 전국 1.6GW의 풍력시설에서 지금까지 화재 발전 건수는 총 6건인 것으로 확인된다. 가장 최근인 지난 22일 인천 영흥화력발전소 내 풍력발전기 화재는 소방서 추산 약 9억5000만원의 피해가 났다. 불이 난 풍력발전기는 두산중공업에서 제작한 3㎿급 15호기로 1기당 사업비는 약 50억원이다.

불과 석 달 전인 작년 11월에는 탐라 해상풍력 발전기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국내 첫 상업용 해상풍력단지인 이곳은 설비용량 3MW 풍력발전기 10기로 구성돼 2017년 9월부터 발전을 시작한 곳이다. 해상풍력기에서 불이 난 첫 사례이기도 하다.

2017년에는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해안도로에 있는 풍력발전기 4호기에서 불이 났고, 2015년에는 제주 김녕 풍력실증단지 내 풍력발전기에서, 2010년에는 행원리 해안도로에 있는 풍력 2호기에서도 불이 나는 등 풍력발전 화재사고가 끊임없이 이어진다.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화재 현장.(사진=연합)

이 같은 풍력발전기 화재는 대부분 기계실이 부품마찰이나 과열이 원인인 것으로 소방 당국은 분석하고 있다. 이번 영흥 풍력 발전기 역시 기계적 요인에 따른 과열로 불이 난 것으로 보고 화재 원인을 조사 중에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부차원의 정확한 화재원인과 대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풍력발전시설 제작·운영사가 제대로 된 원인 규명을 하지 않고 있고, 이에 대한 의무화 규정도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기기 제작사가 발전단지를 직접 운영하지 않아 원인 파악에도 한계가 있다.

전문가들은 풍력발전기 화재는 막대한 재산피해는 물론 대형 산물이나 인명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실제 화재가 발생하면 해당 풍력시설에 대한 손해와 가동 중지에 따른 손실비용으로 이어진다.

또한 육상풍력의 경우 대형 산불이나 민간 피해 위험성이 도사린다. 특히 육상·해상 풍력 모두 화재진압을 위한 접근성이 떨어지다 보니 초기 진화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에 전문가들은 풍력발전 화재는 관련업계와 전문가들이 참가해 완벽한 조사와 함께 정부나 기관차원의 통합안전점검기준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풍력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풍력발전 확대 방안에만 몰두하는 사이 화재사고는 계속해서 이어지면서 우리 풍력산업의 경쟁력을 갉아먹게 될 것”이라며 “특히, ESS 화재에 대한 두 차례의 걸친 조사발표가 있었지만 아직 명확한 화재 원인을 밝혀내지 못해 국내 ESS산업의 위축된 것처럼, 풍력발전의 화재사고를 멈추지 못한다면 정부의 에너지전환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양세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