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치인들 실행 위해 탄소중립 이행안 문서화·법률화해야”
“코로나19처럼 국가 간 협력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해야”
COP26로고/연합뉴스
COP26로고/연합뉴스

[한스경제=박지은 기자] 세계 유력 과학자들이 폐막한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결과에 우려를 표명했다. 2050년 탄소중립을 이행한다고 해도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없기에 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고, 향후 10년 안에 탄소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각국이 정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문서화하거나 법률화해서 정치인들이 약속을 어기는 일을 방지해야한다고 주장했다.  

BBC에 따르면 세계 유력 과학자들은 COP26이 더 많은 배출량 감소를 약속하기 위해 내년에 다시 각국이 만나는데 동의하도록 한 점에 대해서는 칭찬했다. 또 산림, 혁신, 특히 화석 연료 추출과정과 가축으로부터 나온 메탄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낸 점. 그리고 마침내 화석연료를 단계적으로 줄일 필요성에 대한 언급한 부분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1.5도로 제한한다는 목표는 너무 미약하다고 지적했다. 지금까지 기온이 1.1도 상승하는 데 그쳤음에도 전 세계가 산불, 홍수, 가뭄 등 이미 온난화 영향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전 영국 수석 과학자인 데이비드 킹 경은 “그린란드는 푸른 바다에 얼음이 녹고 있다. 극지방 여름의 온도는 섭씨 32도였고 숲은 불타고 있다”며 “우리가 탄소 배출량을 완전히 줄인다고 해도, 우리는 이미 대기의 온실 가스 양 때문에 여전히 어려움에 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서 일하는 피어스 포스터 연구원 역시 “사람들은 이미 죽어가고 있고 종들은 현재의 기온으로 멸종되고 있다”며 “우리는 수세기에 걸친 해수면 상승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1.5도 이하는 이번 세기에 우리가 바랄 수 있는 가장 안전한 부적이지만 우리가 더 많이 알수록 탄소 배출량에 안전한 제한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번 COP26에서 많은 나라들이 2050 탄소중립을 약속 했지만 중국과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탄소 거대 배출국들은 2060년까지 약속을 했다. 세계 최대 배출국 중 하나인 인도는 2070년에 탄소중립에 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들은 2050년도 너무 늦다는 입장이다.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에서 빙하 변화를 연구하는 마틴 시거트 교수는 “오래 방치할수록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가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적어도 2050년까지 원칙적으로 넷제로 개념에 대한 국제적인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마크 매슬린 교수는 “10년 안에 탄소 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는 것에 동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몇몇 과학자들은 화석 연료에 대한 투자 중단을 요구했다. 그 비용을 태양광이나 풍력과 같은 재생 에너지에 쓰여야 한다는 것이다. 맬버른대학 말테 메인하우센 교수는 “석탄 발전소나 다른 화석 기술을 건설하고 지원하는 모든 외국인 투자에 대해 전면적인 중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모든 과학자들이 기후변화에 비관적인 것은 아니다. 캠브리지 대학의 줄리안 올우드 교수는 COP26에서 논의된 해결책으로 “깨끗한 전기, 탄소포집, 바이오매스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각국이 탄소중립 이행계획이 실질적인 실행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정치인들의 약속을 지키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후보호를 위한 과학자 모임인 아크로틱 베이스 캠프의 설립자 게일 화이트먼 교수는 “이번 정상회담이 다양한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하면서도 “좋은 공약들이 회의에 상정됐으나 실행 여부가 걱정”이라며 우려했다.  

엑서터대학의 글로벌 시스템 연구소 팀 렌턴 교수 역시 “우리 모두가 정치 지도자들을 설득해 위대한 변화에 동참할 필요가 있다. 국제 정책 과정은 기후 시스템보다 더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과학자들은 탄소중립 실행안을 문서화 하거나 법률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탈리 존스 박사는 “각 국가들이 어떻게 목표를 달성할 지에 대한 강력한 계획과 정책을 발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존슨 박사는 구체적으로 국가들에 책임을 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정책 성명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예를 들어 영국은 비교적 야심찬 배출가스 감축 목표를 갖고 있지만 현재 새로운 유전 개방을 시도하고 있다. 이 두 가지는 과학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실행을 위해서는 국가 간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과학자들은 강조했다. 국제환경개발연구소 아디트 바하두르 박사는 “기후 변화에 적응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 국가들이 극한의 날씨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기술과 조언을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뭄이나 홍수를 자주 경험하는 나라는 이제 막 극단적인 기상 현상을 경험하기 시작한 다른 나라들에게 조언을 해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대응방법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가나대학의 나나 아마 브라운 클루체 박사는 “전염병과 싸우면서 세계는 하나가 됐다. 기후 변화도 이렇게 국가들이 협력하는 방법으로 싸워야 한다”며 “세계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기후변화에 맞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은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