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부터 ESG관련 ETF 유행까지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한스경제=박지은 기자] 2021년은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한해였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지난 10월말 영국 글래스고에서는 120개국 정상들이 모여 지구온도 1.5도 이내 상승 억제를 위한 범세계적 기후행동 강화를 약속했고, EU(유럽연합)은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을 발표하며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990년 수준 대비 55% 감축하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를 제시했다. 여기에 주주행동주의는 더 대담한 방법으로 기업경영에 개입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ESG 압박이 더해지자 기업들의 위장환경주의(그린워싱, Greenwashing) 또한 심화하고 있다. 결국  글로벌 ESG 기준 표준화 작업이 시작되는 등 2021년은 전 세계에 ESG가 뿌리내리기 시작한 한해로 평가된다. 한스경제가 올해를 달군 해외 ESG뉴스 10가지를 선정해 봤다. <편집자 주>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연합뉴스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연합뉴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글래스고에서 열려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197개국 정부대표단과 산업계와 시민단체, 연구기관 등에서 4만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주 동안 개최됐다. 120개국 정상들은 영국 글래스고에서 모여 지구온도 1.5도 이내 상승 억제를 위한 범세계적 기후행동 강화를 약속했다. 이번 COP26의  최대 성과는 지난 6년간 치열한 협상을 진행했던 국제탄소시장 지침을 타결해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의 세부이행규칙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105개국이 2030년까지 삼림파괴를 중단하고, 2020년 대비 메탄배출량을 30% 감축하기로 합의를 도출했다. 

이번 총회에서 채택된 '글래스고 기후합의'에는 탄소저감장치가 없는 석탄 발전소의 단계적인 감축과 비효율적인 화석연료 보조금의 단계적 폐지를 촉구하는 문구가 들어갔다. 그러나 석탄을 많이 쓰는 인도와 중국 등이 반대하면서 석탄 발전을 중단하는 것이 아니라 감축으로 합의하는데 그친 것이 아쉬움으로 지적됐다. 한국과 등 23개국이 석탄 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약속하면서 석탄 발전 폐지를 약속한 나라는 46개국으로 늘어났지만 중국과 미국, 인도는 석탄 사용 중단을 약속하는 성명에 서명하지 않았다. 또한 지금까지 5년마다 제시해온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도 내년 다시 재검토하기로 했다. 

◆주주행동주의, 더 대담해졌다

행동주의 펀드 엔진넘버원이 엑손모빌을 주총에서 무릎 꿇게 만들었다. 행동주의 펀드란 주식을 매수한 뒤 회사 경영에 적극 개입해 주가 상승을 추구하는 펀드를 뜻한다. 엔진넘버원은 엑손모빌 경영진에게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자신이 추천한 인사들을 이사로 임명하라고 요구했다. 엑손모빌 신규 선임 이사 4명 중 3명이 엔진넘버원이 추청한 기후변화 전문가여서 엔진넘버원은 엑손모빌 이사회 내 다수의 신규 이사 자리를 확보했다. 엑손모빌은 소극적이었던 친환경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알리고 ’엑손모빌 저탄소 솔루션’이라는 명칭의 탄소배출량 감소 기술(CCU) 개발 사업부를 신설해 3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엔진넘버원이 엑손모빌 경영진과 표 대결을 벌여 성공적으로 승리하자 엔진넘버원은 ESG 투자 명성에 올랐다. 엔진넘버원은 ESG 투자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더 트랜스폼 500’이라는 상장지수펀드(ETF)를 출시했다. 또 엔진넘버원은 기업의 ESG 영향과 가치 평가를 연결하는 데이터 중심 접근 방식을 상세히 기술한 백서를 출시하며 ESG 이슈에 대해 평가등급을 매기는 통합가치 프레임워크(Total Value Framework)를 발표했다. 

벨기에 브뤼셀 소재 유럽연합 이사회 건물 앞에 걸린 유럽연합기/연합뉴스
벨기에 브뤼셀 소재 유럽연합 이사회 건물 앞에 걸린 유럽연합기/연합뉴스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 발표

EU 집행위원회는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을 발표했다. 입법안은 탄소 가격결정 관련 입법안 4개, 감축목표 설정 관련 입법안 4개, 규정 강화 관련 입법안 4개등 12개 입법안 제·개정과 포용적 전환을 위한 지원대책인 사회기후기금 신설안 1개 등 13개 법안으로 구성돼 있다. 목표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990년 수준 대비 55% 감축하는 것이다. 

‘Fit for 55 ’핵심 법안은 배출권거래제, 탄소국경조정제도, 에너지 관련 지침 개정, 대체연료 인프라, 지속가능한 항공 및 해양 연료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번 법안을 통해 EU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를 도입하고 교통과 건물의 탄소가격을 매긴다. 그리고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 즉 탄소국경세를 도입해 EU 역내로 수입되는 제품 중 역내 제품보다 탄소배출이 많은 경우 비용을 부과하게 된다. 탄소국경세는 2023년 1월 1일부터 철강·시멘트·비료·알루미늄·전기 등 5개 분야에 적용된다. 또한 법안에는 2035년부터 EU 내 신규 휘발유·디젤 차량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그린워싱의 횡행

그린워싱이란  환경적 속성에 관한 표시와 광고가 허위 또는 과장돼, 친환경 이미지만으로 경제적 이익을 취하는 위장환경주의를 뜻한다. 환경분야 잡지 에코 비즈니스(Eco Business)는 올해를 달군 그린워싱 11개를 뽑았다. 여기에는 △500억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거짓말 △플라스틱 폐기물을 정화 프로젝트로 속인 싱가포르 비영리단체 △50% 재활용된다며 과장된 홍보를 한 아디다스 △알루미늄으로 포장재를 바꿔 친환경이라고 홍보한 베트남 생수 브랜드 △탄소 배출 제로를 달성한다면서 화석연료 추출 사업 확장을 목표로 한 호주 석유회사 산토스 △탄소 배출량 제로라고 과대광고를 한 석유회사 로얄더치셀 △심해 채굴을 침소봉대한 캐나다의 광산기업 더 메탈스 컴퍼니 등이 뽑혔다. 

금융계에서도 몇몇 ESG 펀드 운용사들은 ESG 프레임워크 준수, 대리투표, 부정 심사 등과 관련된 정책을 어긴 것이 적발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경고 조치를 받았다. 일부 ESG 펀드는 ESG 평가 등급이 낮은 기업에 주로 투자해 상품 소개에 명시된 ESG 투자 방식과 완전히 달랐던 것으로 드러났다. 또 ESG를 단지 홍보 수단으로만 사용된 사례도 적발됐다. 예를 들어 ESG 투자와 관련된 수익률 및 상관관계만 주목해 펀드를 팔았고, 이로 인해 ESG 기반 펀드의 수익률이 부풀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프랑스는 세계 최초로 그린워싱에 대한 벌금을 부과하는 법적 제재조치를 도입해 그린워싱으로 유죄를 받게 될 경우 허위 홍보캠페인 비용의 최대 80%까지 벌금을 부과하고, 언론이나 광고판에 시정조치를 요구하거나, 회사 웹사이트에 해명자료를 싣도록 하고 있다. 

바다 물고기/사진=픽사베이
바다 물고기/사진=픽사베이

◆생물 다양성 유지에 대한 관심 증가

생물 다양성은 지구에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물의 다양성을 말하는 것으로 생태계의 다양성, 또는 생물이 지닌 유전자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올해는 특히 표준 제정기구들이 생물다양성에 대한 규칙을 추가로 발표했다.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는 2022년부터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설문내용에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6개 질문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영국의 녹색금융연구소는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자본을 할당하는 것을 목표로하는 솔루션인 GFI Hive(GFI 하이브)를 발표했다. EFRAG(유럽 ​​재무보고 자문 그룹)는 GRI(글로벌 리포팅 이니셔티브)와 생물다양성 표준에 대해서 협업하고 CDP와 생물다양성 공시를 협업하겠다고 밝혔다.

생물다양성에 관한 주요 기업 대상 이니셔티브로는 ‘기후액션 100+’을 본떠 만든 ‘네이처 액션 100+’가 있으며 내년부터 활동할 예정이다. '네이처 액션 100+'은 세계은행에서 제안한 것으로 세계은행은 개발은행들이 생물다양성 프로젝트의 초석을 놓은 투자자가 되고 생물다양성 금융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밝혔다. 올해 10월에는 중국 쿤밍에서 ‘COP15’(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가 열려 '포스트-2020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의 이행을 촉구하는 17개의 약속을 담은 '쿤밍 선언'이 채택됐다. COP15는 '2030년까지 자연이 회복되는 세상'을 위한 계획에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 설립 공식 발표

국제회계기준재단(IFRS)은 주요국 정부와 금융당국으로부터 ESG 정보공개 표준을 만들 새로운 기구를 설립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설립에 나섰다.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위원회가 올해 출범해 순차적으로 글로벌 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ISSB는 초대 의장에 다논(Danone)전 최고경영자(CEO)인 에마뉘엘 파버 의장을 임명했다. ISSB는 먼저 사용될 수 있는 ESG 공시 표준인 IFRS의 지속가능성 공시 표준(Sustainable Disclosure Standard)을 내년 하반기 확정할 예정이다. 이후 현재 기업에서 각각 다양한 기준에 따라 지속가능성 보고서 또는 ESG 보고서 등의 이름으로 공시하는 정보의 단일 기준을 제정하게 된다.

새로운 ISSB는 IASB와 함께하며 IFRS 산하에서 독립된 기준 제정기구로 역할을 하게 된다. IASB와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는 서로 독립적으로 역할을 분담하며 두 위원회는 IFRS 이사회가 감독하게 된다. ISSB는 투자자와 그 밖의 자본 제공자에게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보완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IASB, FASB와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밝히는 시진핑/연합뉴스
중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밝히는 시진핑/연합뉴스

◆중국, 세계 최대 탄소배출권 거래시장 출범

세계 최대 탄소배출국인 중국이 전국 단일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출범했다. 중국은 2011년부터 탄소배출권거래제도 도입에 착수했다. 2013년 선전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시작으로 2014년에는 베이징, 상하이, 톈진, 후베이, 광둥, 충칭 등으로 확대하고 2016년 푸젠 거래소를 설립하면서 총 8개 탄소배출권 시범 거래소를 설립하고 운영해왔다. 

중국의 전국 통합 탄소배출권 거래소 출범으로 약 2000개 기업이 참여하며 탄소배출권 거래규모가 약 40억톤에 달하는 세계 최대 탄소배출권 거래시장이 형성됐다. 중국은 베이징, 상하이, 광둥성 등 시범 지역에서 권역별 탄소배출권 거래소를 따로 운영했다. 그러나 이번 통합으로 중국 전체의 탄소배출권 거래가 상하이거래소 한 곳에서 통합돼 진행된다. 시진핑 국가주석은 2060년까지 탄소 배출을 실질적으로 제로로 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밝혀왔다. 이에 중국은 탄소배출권 시장을 하나로 통합한 것은 지역에 따라 배출권 가격이 천차만별인 점 등 문제점이 있었으며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전기차 시장 주도권 다툼이 더욱 심화

최근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은 전기차 수요가 늘면서 배터리 확보를 위해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올해는 전기차의 핵심인 배터리를 놓고 경쟁이 격화된 한해였다. 포드자동차와 BMW 모두 전고체 배터리를 개발 중인 솔리드 파워에 투자했다. 하지만 한편으로 자체 배터리 개발에 나서 포드는 고체전지의 개발에 착수했으며 BMW 역시 독일 정부와 공동으로 차세대 배터리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포드, BMW 는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전기차로 전환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드는 전기차에 220억달러를 지출할 것이라고 밝히며 2030년까지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40%를 전기차로 채우겠다는 구상을 세우고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배터리는 연간 240GWh 규모다. BMW도 BMW와 미니 브랜드로 5개 전기차를 출시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투자 확대의 배경은 자동차 회사들이 탄소중립이라는 대전환에 맞춰 전기차로 발 빠른 전환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에 포드와 BMW는 자동차 배터리를 본격 생산하고, 관련 자재 생산량을 늘리고, 미래 차량 통합을 위한 사내 생산 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조바이든 미국대통령/연합뉴스
조바이든 미국대통령/연합뉴스

◆바이든 정부, 기후변화 대응 정책 행정명령 통해 공식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기후변화에 대한 조치를 가속화하겠다는 선거 공약을 지키면서 대대적인 기후변화 관련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바이든은 취임직후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한 파리기후변화협약과 세계보건기구(WHO)에 재가입 했다. 또한 백악관에 국내기후정책실을 신설해 국가 기후 자문이 대통령의 국내 기후 이슈를 조율하고 시행하도록 했다. 이어 바이든 정부는 교서와 행정명령을 통해 2050 탄소중립, 2035 전력부분 넷제로를 목표로 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이행의지를 구체화했다.

바이든이 내린 행정명령은 △공중보건과 환경 보호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과학 회복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Protecting Public Health and the Environment and Restoring Science to Tackle the Climate Crisis) △바이 아메리칸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Ensuring the Future Is Made in All of American by All of America’s Workers) △PCAST(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 설립과 운영에 대한 미국 대통령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the President’s Council of Advisors on Science and Technology) △미국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Tackling the Climate Crisis at Home and Abroad), △미국 공급망 강화를 위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Strengthening Efforts for U.S. Supply Chains) △기후 관련 금융 위험에 관한 행정 명령’(Executive Order on Climate-Related Financial Risk) △친환경 승용차와 트럭에 대한 미국의 리더십 강화에 관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Strengthening American Leadership in Clean Cars and Trucks) 등이다.

◆기후변화 흐름을 주도하는 ETF 유행

올해는 ESG요소를 갖추고 있는 ESG 관련 ETF(상장지수펀드)가 인기를 얻은 한해였다. 세계적으로 EFT에 유입된 투자금이 처음으로 1조달러를 넘어섰다. EFT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자산운용사들도 다양한 ETF를 시장에 내놓아 올해 미국 시장에서 새로 출범한 ETF의 수는 약 380개나 됐다. 

블랙록은 탄소배출량 감소에 적극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인 '블랙록 탄소전환 ETF'(The BlackRock Carbon Transition Readiness ETF)를 출시했다. JP모건은 기후 변화 솔루션에 대한 수요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차별화된 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대상으로 한 ETF 전략인 JP모건 '기후 변화 솔루션 ETF'(Climate Change Solutions ETF)의 발표했다. 토론토 도미니언애셋매니지먼트는 ESG등급에 대한 고려사항 외에도 도박, 담배, 무기 산업의 회사에는 투자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TD 모닝스타 ESG주가지수 ETF'(TD Morningstar ESG Equity Index ETF)를 투자자에게 공개했다. 슈왑 에셋 매니지먼트는 담배, 화석 연료, 교도소, 총기, 무기 등에 투자를 피하는 '슈왑 아리얼 ESG ETF'(Schwab Ariel ESG ETF)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인베스코는 친환경 디자인, 건축, 개발요소와 관련 인증을 취득한 그린빌딩에 투자하는 '인베스코 MSCI 그린빌딩 ETF(Invesco MSCI Green Building ETF)를 출시했다. 

박지은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