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50대 기업에서 100대 기업을 늘어난 것 긍정적 평가”
“축척된 데이터 바탕으로 심층 분석 통해 지표 개선해야”
“AI 등 기술적 시도로 체계적이고 정확한 분석 가능할 것”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호텔에서 ESG행복경제연구소와 한스경제가 주최한 'ESG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가 진행됐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김부열 교수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임민환 기자 limm@sporbiz.co.kr
지난달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호텔에서 ESG행복경제연구소와 한스경제가 주최한 'ESG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가 진행됐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김부열 교수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임민환 기자 limm@sporbiz.co.kr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ESG행복경제연구소가 국내 대기업들을 대상으로 두 번째 ESG(환경, 사회, 거버넌스) 평가를 발표했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지난해 국내 언론사 최초로 재계·정계·관계·학계·법조계 인사로 구성된 ESG 평가 자문단 회의를 통해 ESG 평가지수 개발에 성공했으며 시가 총액 50대 기업의 ESG 평가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ESG행복경제연구소는 지난해 시총 50위 기업 대상 평가에서 올해 100대 기업으로 대상을 확대하며 연속성과 체계성을 강화했다. 향후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업별 개선도, 평가항목 등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대해 간다는 방침이다.

시총 100대 기업 ESG 평가 자문위원으로 참여한 김부열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는 한스경제와 인터뷰에서 “지난번 50대 기업에서 100대 기업으로 늘린 것은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향후 시총 200대 기업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생각해 보면 좋을 거 같다”며 “평가 기업이 늘어난다면 다양한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도 늘어날 것이고 이에 따라 평가 결과의 질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하 김부열 교수와의 인터뷰 전문

Q. 100대 기업에 대한 ESG 평가 결과가 나왔다. 견해는.

"지표와 관련해서 E,S,G각 항목별 20개씩 정리했는데 다른 부문과 비교해 환경 부문(E)에서 정량으로 책정할 수 있는 지표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 같다. 환경 부문은 국제적 추세로도 가중치가 가장 높다. 환경 부문에서 국제 평가지표와 일관성 있는 정량지표를 연구하고 정성 지표와 균형 있게 개선하면 좋을 것 같다."

"지배구조 분야에선 시총 100대 기업이 금감원, 한국지배구조연구원 등에 제출하는 지배구조 현황은 지표상으로 좋아 보이지만 실질적인 건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기술적으로 걸러낼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번 지배구조(G) 부문 평균을 살펴보면 '감사기구의 전문성' 등 대부분의 평가 결과가 5점 만점이다. 또한 신용등급도 시총 100위면 대부분이 좋다. 실제로 이번 지표에서도 기업들의 신용등급은 5점 만점 중 평균 4.5점을 기록했다. 모든 기업이 대부분 5점이 나오는 지표가 필요할까? 취재나 자료조사 등을 통해 실질적인 상황을 평가에 반영해야 한다."

"지난해 ‘개선도’를 지표에 반영한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기업들의 변화를 투자자, 소비자 등 이해관계자들이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개선도에 대한 가중치 확대도 고민해 보면 좋을 것 같다."

Q. ESG행복경제연구소의 ESG 평가가 타 평가기관들과 차별점을 가지기 위해선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하는가. 

"이번이 2번째 평가다. 처음 측정한 데이터를 시작으로 앞으로 다양하고 방대한 데이터가 시계열로 축적되면 ESG행복경제연구소가 내놓는 평가 결과의 힘이 세질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데이터가 쌓일수록 차별성과 신뢰성에 대한 고민을 더 해야 한다."

"예를 들어 평가의 타당성 검증은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지표의 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다른 지표와의 상관도를 따지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다. 먼저 자체 지표 간의 평가 비교를 통해 해마다 변화하는 수치를 분석해야 한다. 지난해와 비교해서 극단적이나 급격하게 바뀐 수치에 대한 근거가 있는지 아니면 지표 체계에 문제가 있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금감원, 한국지배구조연구원 등 국내 주요 지표 간 평가를 비교하고 다음으로 해외 지표들과의 평가 비교를 통해 상관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차별화와 타당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지만, 순차적으로 생각한다면 우리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이후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Q. 평가지표를 정리할 때 데이터 수집과 변화 점을 잘 파악해야 한다고 했는데 국내에선 시총 100대 기업이 넘어가면 공시자료 외엔 자료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정확한 자료수집을 위한 방안은.

"언론의 노출 건수 등 세세한 지표들에 대한 'AI-빅데이터 마이닝' 같은 IT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이 더 많아지면 좋겠다. 이러면 자동화는 물론 좀 더 체계적이고 정확한 변화 점들을 찾아낼 수 있다. 실제로 SK에서 사회적 기업 500곳의 사회적 가치와 대표성을 연구하면서 정관 공시자료 등을 기계가 마이닝 해 분석해 주니 훨씬 더 빠르고 더 많은 양의 기업을 분석할 수 있었다."

"기술을 잘 활용하면 200대 기업으로 확대도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마이닝 기술은 세세하게 변화하는 것까지 수집할 수 있다. 시총 100대 기업이 넘어가면 공시자료가 부족하거나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데이터 찾기가 힘들다. 이럴 때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활용해 자동화하면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는 물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김재훈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