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철콘업계, 자재·인건비 인상 따른 계약단가 증액 요구
건설사 측 합의 의사…이견 커 상황따라 파업 재개될 수도
러시아 제재 강화로 인한 공사대금 회수 차질 가능성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준희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전 세계를 들썩인 가운데 국내 건설업계는 철근콘크리트업계 파업까지 겹치면서 이중고를 겪는 모양새다.

파업이 하루 만에 일단락되면서 ‘셧다운’ 위기는 면했지만 협상 파행 시 재개될 가능성이 있고, 우크라이나 사태가 한치 앞도 예상할 수 없게 전개되고 있어 상황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철근콘크리트 하도급 업체들은 전날 공사대금 증액을 요구하며 전국 30여개 건설현장에서 골조 공사를 중단했다.

철근콘크리트연합회는 지난달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를 대상으로 건설 자재비와 인건비 급등으로 인한 위기상황을 호소하며 하도급대금 20% 상당 증액을 요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

공문에는 건설사들이 손실 보전에 대한 보상을 확약서 양식으로 보내주지 않을 경우 공사 중단도 불사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실제 공사단가 협의 의사를 밝힌 건설사 현장 외 나머지 30여곳에서 일시적으로 공사가 중단됐다. 공사가 중단된 곳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15곳과 지방 17곳으로 파악됐다.

다행히 장기 파행까지는 면하게 됐다. 연합회에 따르면 대부분 원도급 건설사가 합의 의사를 밝히면서 추가 파업은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건설사 측과 철근콘크리트업계 측 이견이 여전히 큰 것으로 알려져 양측 협의 결과에 따라 파업이 재개될 가능성은 있다.

건설업계는 이미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골치가 아픈 상황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진행 중이거나 수주한 공사들이 향후 사태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다.

전문건설업계가 국회 앞에서 생존권 보장 촉구 집회를 개최했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제공
전문건설업계가 국회 앞에서 생존권 보장 촉구 집회를 개최했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제공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달 22일 기준 국내 건설사들은 우크라이나에서 총 18건(약 3억1000만달러), 러시아에서 177건(약 159억5000만달러)의 건설사업을 수주했다. 이 중 공사가 진행 중인 사업은 우크라이나가 6건(1000만달러), 러시아가 18건(103억6000만달러)이다.

국내 건설사 러시아 현지 공사 중 주요 사업장은 DL이앤씨의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사업(도급액 3271억원)과 발틱 화학플랜트 프로젝트(1조5645억원), 삼성엔지니어링의 발틱 에탄크래커 프로젝트(1조3722억원) 등이 있다.

한신평은 “전쟁 지역이 우크라이나 영내로 한정돼있는 점을 감안할 때 현 제재 수준에선 러시아에서 건설사들이 진행 중인 사업에 즉각적인 문제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향후 사태 확산 정도와 러시아에 대한 주요국 제재 범위가 확대될 경우 각 건설사들이 러시아에서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한 중단 압력이 거세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과거 이란 사례와 같은 송금 제한이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국제통화결제시스템(SWIFT) 배제 등이 이뤄진다면 공사대금 회수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내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교롭게도 스위프트는 오는 12일(현지시간)부터 러시아 은행 7곳과 러시아 내 자회사를 결제망에서 배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토교통부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토부는 전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현지에 진출한 국내 기업과 해외건설협회 관계자, 제재 관련 전문가 등이 참석해 현지 상황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현지 진출기업에 필요한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세계적인 금융제재 여파가 국내 기업이 현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기업별로 사전 대비하고 제재 내용이 구체화될 경우 기업별 애로사항을 관계 부처와 함께 논의해 대응해나가기로 했다.

김준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