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LG전자·LG디스플레이·한국전력 등 3개 기업 A등급 
두산퓨얼셀·하이브 B등급…S·D등급 기업 無
케이엠더블유, 유일한 C등급…환경 부문 개선 필요 
삼성전자 사옥 전경. /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 사옥 전경. / 삼성전자 제공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국내 시총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한 ESG평가 결과, 전기·전자 업종에서는 삼성전자가 1위를 차지했다. 시총 1위 기업답게 저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이어 삼성전기와 SK하이닉스도 A+등급을 받으며 공동 2위에 올라 ESG경영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케이엠더블유는 유일하게 C등급을 받아 비교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ESG행복경제연구소가 발표한 국내 시총 100대 기업(2020년 말 기준 코스피 89·코스닥 11개사)에 대한 ESG평가 결과에 따르면, 전기·전자 업종은 10개 기업이 포함됐다. A+(매우 우수)등급 3개사, A(우수)등급 4개사, B등급(보통) 2개사, C등급(취약) 1개사로 A등급에 가장 많은 기업들이 분포됐다. S(최상위)·B+(양호)·D(부족) 등급을 받은 기업은 없었다. 

이번 평가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각 부문별로 △전략 △경영 △관리 △개선도 등 4개 평가대상과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했으며, 각 항목은 5점의 배점이 주어졌다. 여기에 심층 사항으로 위규 및 이슈사항에 대한 감점 요소를 포함했다.

◆ 삼성전자, 지난해 '50대 시총 평가' 이어 올해도 A+…환경·지배구조 '매우 우수'  

삼성전자는 85.8점(100점 만점)을 받아 A+등급으로 1위에 올랐다. 환경(80.0점) 부문 A등급, 사회(89.5점)·지배구조(89.8점) 부문 각각 A+등급을 받아 분야에 상관없이 ESG 경영 전반에서 우수한 모습을 보여줬다. 참고로 삼성전자는 지난해 ESG행복경제연구소가 시총 50대 기업을 대상으로 발표한 ESG 평가에서도 A+등급을 받았다. 같은 평가에서 2년 연속 상위권을 유지한 기업 중 하나다. 

환경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리더십 및 경영총관심도 △지속가능경영·공시 및 방식 △이니셔티브 및 가이드라인 제시, '경영' 분야의 △친환경 특허 인증 및 기구 가입, '관리'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폐기물 재활용율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지난해와 올해 모두 A등급을 유지했다. 

사회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리더십 및 경영총관심도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이닉셔티브 및 가이드라인 제시, '경영' 분야의 △사회적책임경영 활동 △협력사에 대한 지원 및 배려 △회사 신용등급, '직원' 분야의 △고용 및 근로조건 △고용안정성 △고용평등 및 다양성 △직원복지, '동반성장 및 상생경영' 분야의 △지역사회 지원활동 △사회공헌 지출액 △공정거래 △소비자 만족도, '개선도' 분야의 △고용평등 및 다양성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S등급을 받았으나 올해는 A+등급으로 하락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리더십 및 경영총관심도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이니셔티브 및 가이드라인 제시, '경영' 분야의 △이사회내 ESG조직이 있는가 △이사회 독립성 및 전문성 △장기재직 사외이사 △사외이사 비율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주주' 분야의 △주주총회 개최 적법성 △전자투표 실시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최대주주 지분율 △배당정책, '감사' 분야의 △감사기구 전문성 △외부감사인의 운영적정성 △내부감사기구 경영정보 접근성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지난해와 올해 모두 A+등급을 유지했다. 

◆ 삼성전기·SK하이닉스 '최상위권'…지배구조 S등급 돋보여 

삼성전기는 85.1점을 받아 A+등급으로 2위에 올랐다. 1위 삼정전자와의 차이는 0.7점에 불과하다. 전기·전자 업종에서 S등급을 받은 기업이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대평가에서는 ESG경영이 최상위급이라고 볼 수 있다. 삼성전기는 환경(81.0점)·사회(84.0점) 각각 A등급, 지배구조(91.8점) S등급으로 부문별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 평가와 비교하면 A등급에서 A+등급으로 상승했다. 

환경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경영' 분야의 △친환경 특허·인증 및 기구 가입, '관리'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다만, 전년과 비교하는 '개선도' 분야에서는 만점을 받은 항목이 없었다. 

사회 부문에서는 '경영' 분야의 △사회적책임경영 활동, '직원' 분야의 △고용 및 근로조건 △고용안정성 △고용평등 및 다양성 △직원복지, '개선도' 분야의 △사회공헌 지출액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참고로 삼성전기는 탑(T0T)3 기업 중 유일하게 사회 부문 '직원' 분야의 4개 항목이 모두 만점을 받았다. 다만, '동반성장 및 상생경영' 분야에서 만점을 받은 항목이 없는 기업도 삼성전기가 유일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경영' 분야의 △이사회 독립성 및 전문성 △사외이사 비율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주주' 분야의 △주주총회 개최 적법성 △전자투표 실시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최대주주 지분율 △배당정책, '감사' 분야의 △감사기구 전문성 △외부감사인의 운영적정성 △내부감사기구 경영정보 접근성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삼성전기 사옥(왼쪽)과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정문. / 각 사 제공
삼성전기 사옥(왼쪽)과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 정문. / 각 사 제공

SK하이닉스도 85.1점을 받아 A+등급으로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렸다. SK하이닉스 역시 삼성전기와 함께 상대평가에서는 ESG경영이 최상위급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부문별로 살펴보면 A+등급을 받은 사회(86.0점) 부문과 S등급을 받은 지배구조(93.5점) 부문과 달리 환경 부문은 78.0점으로 B+등급을 받아 비교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평가와 비교하면 S등급에서 A+등급으로 하락했으며, 특히 환경 부문의 하락폭(S->B+)이 컸다. 

환경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이니셔티브 및 가이드라인 제시 △기후변화대응 및 행동시스템 △환경 리스크 및 기회관리, '경영' 분야의 △친환경 특허·인증 및 기구 가입, '관리' 분야의 △폐기물 재활용율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전년과 비교하는 '개선도' 분야는 만점을 받은 항목이 없었다. 

사회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이니셔티브 및 가이드라인 제시, '경영' 분야의 △사회적책임경영 활동 △회사 신용등급 , '직원' 분야의 △고용 및 근로조건 △고용안정성 △고용평등 및 다양성, '동반성장 및 상생경영' 분야의 △지역사회 지원활동 △사회공헌 지출액 △공정거래, '개선도' 분야의 △고용평등 및 다양성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전략' 분야의 △지속가능경영 공시 및 방식 △이니셔티브 및 가이드라인 제시, '경영' 분야의 △이사회내 ESG조직이 있는가 △이사회 독립성 및 전문성 △장기재직 사외이사 △사외이사 비율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주주' 분야의 △주주총회 개최 적법성 △최대주주 지분율 △배당정책, '감사' 분야의 △감사기구 독립성 △감사기구 전문성 △외부감사인의 운영적정성 △내부감사기구 경영정보 접근성 항목이 만점을 받았다. 참고로 탑(T0T)3 기업 중 '감사' 분야의 모든 항목이 만점을 받은 기업은 SK하이닉스가 유일했다. 

◆ 유일한 C등급 케이엠더블유, 환경 부문서 최하 등급…적극 개선 필요 

그 외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한국전력 등 3개 기업은 A등급을 받았다. A등급은 ESG평가기준에 부합한 우수하고 다양한 지속가능경영체계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비재무적 위험요인의 발생가능성이 적은 기업으로 분류된다. 참고로 3개 기업 모두 지난해 평가와 같은 A등급을 유지했다. 

ESG행복경제연구소 제공
ESG행복경제연구소 제공

두산퓨얼셀과 하이브는 B등급을 받았다. B등급은 ESG평가기준에 부합하는 활발한 지속가능경영체계를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며, 비재무적 위험요인의 발생가능성이 존재하는 기업으로 분류된다. 이들 기업은 올해 평가에 처음 포함돼 전년 대비 등급등락을 확인할 수 없었다. 

케이엠더블유는 전기·전자 업종에서 유일하게 C등급을 받았다. C등급은 ESG평가기준에 부합하는 활발한 지속가능경영체계가 취약해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상당히 필요하며, 비재무적 위험요인의 발생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기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환경 부문에서는 만점을 받은 항목이 없었으며, D등급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최하 등급(표에서는 D등급으로 표기)을 받아 개선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나머지 사회·지배구조 부문은 모두 B등급을 받았다. 

김동용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