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삼성전자, 연구과제 선정
차세대 반도체·노화 규명 등 미래 신기술 지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22년 상반기 지원 과제에 선정된 주요 교수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강찬희 서울대, 권영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대현 경북대, 김준성 포스텍, 양용수 KAIST, 최영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사진=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2022년 상반기 지원 과제에 선정된 주요 교수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강찬희 서울대, 권영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대현 경북대, 김준성 포스텍, 양용수 KAIST, 최영재 광주과학기술원(GIST) 교수. /사진=삼성전자

[한스경제=최정화 기자] 삼성이 올해 상반기 차세대 반도체와 노화 규명 등 기초과학에 총 486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30·40대 젋은 과학자를 지원해 기초과학과 미래 신기술 토대를 마련해 핵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복안이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과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을 통해 2022년 상반기부터 지원할 연구 과제 27건을 선정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기초과학 12개, 소재 분야 8개, ICT 분야 7개 등 총 27개로 연구비 총 486억5000만원이 지원된다. 차세대 반도체, 가상화 시스템 운영 체제, 세계 최고속 트랜지스터 등 미래 신기술이 대거 포함됐다. 노화 촉진 원인을 규명해 치료법을 개발하고, 리보핵산 백신·치료제 생산 관련 기술을 연구하는 과제도 지원한다. 

연구 책임자는 43세 이하가 12명으로 전체의 44%를 차지했다. 이 중 30대 연구책임자는 황준호 서울대 교수, 김희권 성균관대 교수 등 6명이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강찬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중심으로 노화 연관 대사물질에 의해 주변 세포 노화가 촉진되는 원인을 규명한다. 양용수 KAIST 물리학과 교수는 원자분해능 전자토모그래피를 이용해 고체 계면에 존재하는 원자의 배열을 3차원 단위로 규명한다. 

소재 분야에서 김준성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신규 자성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도전한다. 최영재 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새로운 분자 정제 기술을 개발해 현재 70% 이하 수준인 RNA 정제 수율을 99%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ICT 분야에서는 김대현 경북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가 세계 최초로 1테라헤르츠급 동작 속도 극초고주파·초저전력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에 나선다. 6세대 통신, 양자 컴퓨팅 상용화 핵심 기술 개발이 목표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국내 기초과학 발전과 산업기술 혁신, 사회 문제 해결을 목표로 삼성전자가 2013년부터 1조5000억원을 출연해 시행하고 있는 연구 지원 공익사업이다. 2013년 8월 시작된 후 연평균 1000억원의 연구비가 국내 50여개 대학에 지원됐다. 연구 지원을 받은 교수는 1600여명(참여교수 포함)이며 과제 참여 연구원까지 포함하면 1만4000여명에 이른다.

연구 과제로 선정되면 최장 5년간 수십억원의 연구비가 지원된다. 연구 책임자가 연구 성과를 설명하고 다른 연구자들과의 토론을 나누는 애뉴얼 포럼, 연구 성과의 산업 활용도를 높이는 R&D(연구·개발) 교류회, 활용도가 높은 특허 출원을 지원하는 IP(지적재산)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최정화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