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글로벌 긴축·물가상승에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변동금리 비중 높은 국내 가계대출...주택대출자들 '고정금리로 갈아탈까'
금리인상기에 주택대출자들이 변동금리과 고정금리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 /연합뉴스
금리인상기에 주택대출자들이 변동금리과 고정금리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한결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7%대로 치솟은 물가를 잡기 위해서 예상보다 빠르고 강하게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은행권의 담보대출 고정금리는 최고 6%를 넘었으며 금리가 오를 경우에는 고정금리가 7%를 넘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금리상승기를 맞아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중 약 80%가 변동금리라는 점이다. 따라서 금리가 인상될 경우,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대출자의 경우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한국은행(한은)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행보에 대출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은이 지난 1월 기준금리를 인상한데 이어 4월 추가인상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은행권의 대출금리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국내 가계의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고정금리보다 더 많은 것이다. 지난달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변동·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살펴보면 지난 2월 신규취급액 기준으로 변동금리가 78%인 반면 고정금리는 22%에 그치고 있다.

국내 시중은행의 이달 변동금리를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이 연 3.40~4.90%, 신한은행이 연 3.63~4.68%, 하나은행이 연 3.944~5.244%, 우리은행이 연 3.66~4.87%, NH농협은행이 연 3.48~4.38% 정도다. 반면 혼합형 상품 금리는 KB국민은행이 연 3.74~5.24%, 신한은행이 연 4.53~5.36%, 하나은행이 연 4.719~6.019%, 우리은행이 연 4.33~6.24%, NH농협은행이 연 5.21~6.11%다. 아직까지는 고정금리의 금리 상단이 변동금리보다 1%p 정도 더 높다.

하지만 한은이 올해 꾸준히 금리 인상을 단행한다면 고정금리에 비해 변동금리가 더 높아지는 금리 역전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은행권 대출의 경우, 대출 약정일의 금리로 5년간 이자를 갚아야 한다. 변동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면 기준금리에 영향을 많아 6개월마다 금리가 변동된다. 따라서 금리 인상기엔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 상품이 소비자에게 유리하다. 다만 단기간 대출에는 현재 더 낮은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에 금융당국도 은행들에 가계대출 고정금리의 비중을 늘릴 것을 지시했다. 이에 시중은행들은 전체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대출의 비중을 올해 말까지 52.5%로 늘려야 한다. 

이에 대해 은행권 관계자는 "당국에서도 금리가 많이 오르니 지도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은행 역시 기준금리가 오르는 상황에서 주담대를 판매할 때 한은에서 기준금리를 2회 정도 더 올릴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며 고정금리를 많이 권하는 편이다"라며 "또한 은행권에선 변동금리에서 고정금리로 갈아탈 때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제도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고려 중에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은행권이 중도상환수수료를 면제해주는 카드를 고민 중인 것과 달리 소비자의 입장에서 금리인상의 여파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이다. 고정금리의 금리 상단이 변동금리보다 1%p 정도 높긴 하지만 1~2년 정도 안에 갚을 대출은 변동금리가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에 은행권 관계자는 “추후 가산금리 수준을 고려해, 고정금리 전환 시 원리금 상환 규모와 중도상환수수료 금액 등을 비교해서 결정하는 것이 유리하며, 장기간 대출을 받는 다면 당연히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게 좋다”고 밝혔다.  

이른바 '영끌'족들의 경우, 새 정권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완화 계획이 아직 불투명하다는 점도 대출 갈아타기에 있어서 변수다. 지금까지 상환액을 빼더라도, 가령 현 LTV 기준을 초과한 대출잔액이라면 은행에서 차환을 거절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금융소비자로서 선택지는 당국의 유권해석 신청이다. 하지만 이를 기다리는 데에도 시간이 필요하고, 그 사이 금리변화는 쉽게 장담하기 어렵다. 이래도 저래도 주택대출자들의 고민이 깊어지는 시기다.

김한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