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현대차·기아 다양한 근무 형태 도입 검토 중
GS·한화건설·포스코 재택 종료…LG 30%로 완화
삼성전자, 최대 50% 재택근무 유지
"자율근무 유지하되 효율 높이는 체제 도입 해야"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주요 기업들이 코로나19 이전의 업무방식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주요 기업들이 코로나19 이전의 업무방식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최정화 기자] 2년 만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주요 기업들이 엔데믹 전환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에 직장인들은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가 큰 반면 팬데믹으로 도입됐던 긍정적(?)인 요소마저 없어질 수 있다는 데 우려를 표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근무 형태에 익숙해진 직원들과 코로나 이전 복귀를 추진하는 기업들간에 당분간 마찰이 빚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미국 여론조사업체 퓨리서치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재택근무자의 78%가 '팬데믹이 끝난 뒤에도 재택근무를 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2022 워크 트렌드 인덱스'에서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직장인의 53%가 일보단 웰빙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마케팅업에 종사하는30대 이모씨는 "장거리 출퇴근에 소요됐던 시간이 줄어들어 한결 여유로운 시간을 가질 수 있었고, 자율근무제로 가족과 보내는 시간도 많아져 가족간 유대감도 깊어졌다"며 "코로나 이전의 출퇴근 방식으로 되돌아간다면 자율근무제가 가능한 직장으로 이직할 생각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기업들은 직원들의 자율적 근무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근무체계를 고심 중이다.

현대차·기아는 코로나19 상황이 완전 해소될 시기에 대비해 다양한 근무 형태 도입을 검토 중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재 방역 관점에서 재택근무 시행 중"이라며 "사무실 근무 외에도 H-Work Station(거점 오피스), 모바일 오피스(유니버스 기반의 이동 및 거점형 업무 공간) 등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업무 시스템을 확대, 운영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도 최대 50% 재택근무 비율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현대제철과 신세계, 현대백화점도 재택근무 최대 50% 방침을 유지할 방침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전 직원 순환 휴직을 유지한다.

삼성전자 서초 사옥. /사진=연합뉴스
삼성전자 서초 사옥. /사진=연합뉴스

그러나 대부분 기업은 코로나19 이전 근무형태로의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이달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코로나19 위기 상황이 해소되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는 응답이 절반 이상(56.4%)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이달 1일부터 서울지역에서 실시하던 일반 재택근무를 중단하고 전면 출근제로 변경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도 18일부터 사무실 출근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포스코케미칼 역시 지난 4일부터 전 직원이 출근하고 있다.

GS건설도 11일부터 본사 임직원의 재택근무와 시차출퇴근제를 끝냈다. 한화건설 역시 18일부터 30%로 시행하던 재택근무를 종료했다. 

LG그룹은 18일부터 재택근무 비율을 기존 50%에서 30% 이하로 완화했다. 

SK수펙스는 구성원들이 재택근무를 포함한 근무 방식과 장소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두산도 필수인력을 제외한 직원들에게 부서장 재량에 따라 재택근무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현대중공업그룹 역시  50%였던 재택근무를 부서별로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효성그룹은 재택 비중 50%를 유지하기로 했지만 가급적 출근하는 분위기를 권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한화그룹은 재택근무를 권장해온 지침을 변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직장인 사이에서도 직종과 직급에 따라 재택근무에 대한 호불호 갈리는 양상이다.

업무를 배워야 하는 신입사원 입장에선 재택근무가 불안한 제도다. 팀장급도 비대면 근무가 팀 성과를 이끌어 내기 어려운 형태라고 지적한다.

재택근무로 인한 기밀 유출도 출근 전환에 영향을 끼쳤다는 평이다. 앞서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는 재택근무 중인 직원이 기밀 유출을 시도하다 덜미가 잡히기도 했다.

하지만 이미 재택근무는 연봉만큼이나 이직의 주요 기준 된 만큼 기업 입장에선 무작정 출근을 강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인력유출이 극심한 반도체, 배터리 등 업체에선 더욱 그렇다.

전문가들은 "엔데믹과 디지털 전환을 계기로 업무 효율을 높이면서 임직원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근무 체계 도입이 절실한 시기"라고 진단했다.

최정화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