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전경련, 작년 배터리전기차 Top5 점유율 분석
"신정부, 신흥시장 전기차·배터리 협력 지원 절실"

[한스경제=최정화 기자] 우리나라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점유율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협력, 신흥시장 공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8일 글로벌 배터리전기차와 리튬이온배터리 산업의 지형 변화와 한국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는 2021년 기준 배터리전기차 세계 5대 수출국(독일, 벨기에, 중국, 한국, 미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8일 글로벌 배터리전기차와 리튬이온배터리 산업의 지형 변화와 한국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는 2021년 기준 배터리전기차 세계 5대 수출국(독일, 벨기에, 중국, 한국, 미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국제무역센터의 세계 무역통계를 토대로 연평균 20% 이상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배터리전기차와 리튬이온배터리산업의 지형 변화와 한국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독일과 벨기에, 중국, 한국, 미국 등 배터리전기차 세계 5대 수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전년 대비 중국은 9.5%포인트, 독일은 3.8%포인트로 각각 상승했다. 반면 한국은 0.8%포인트 감소했다. 미국과 벨기에도 각각 8.5%포인트, 2.1%포인트 감소했다.

이같이 중국 배터리전기차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상승한 것은 중국 기업의 세계 최대 수입시장인 EU 수출이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중국의 EU 배터리 전기차 수입시장 점유율은 2020년 4.2%에서 지난해 15.9%로 11.7%포인트 수직 상승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8일 글로벌 배터리전기차와 리튬이온배터리 산업의 지형 변화와 한국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는 2021년, 전년대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시장 점유율 변화.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8일 글로벌 배터리전기차와 리튬이온배터리 산업의 지형 변화와 한국의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자료는 2021년, 전년대비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수출시장 점유율 변화. 

전기차,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리튬이온배터리의 2021년 기준 세계 5대 수출국(독일, 중국, 한국, 폴란드, 헝가리)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020년 대비 중국이 2.9%포인트, 폴란드가 1.8%포인트, 독일이 1.2%포인트, 헝가리가 0.3%포인트 각각 상승한 반면 한국은 2.0%포인트 줄었다.

CATL, BYD, CALB 등 중국 기업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한 출하량 기준 전기차 배터리 세계시장 점유율은 2020년 38.4%에서 2021년 48.7%로 10.3%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한국 배터리 3사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의 세계시장 점유율은 2020년 34.7%에서 2021년 30.4%로 4.3%포인트 줄었다. 일본(파나소닉 등)도 2020년 18.4%에서 2021년 12.2%로 6.2%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CATL, BYD, CALB 등 중국 기업의 전기차 배터리 세계시장 점유율은 1위이지만 수출보다 내수 비중이 높아 중국 시장을 제외한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한국산 점유율은 2020년 52.4%에서 2021년 57.0%로 4.6%포인트 증가하며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중국은 풍부한 배터리 원자재 매장량과 중국 정부의 자국 배터리기업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을 통해 세계 1위 배터리 전기차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신정부는 지난해부터 배터리 공급망을 재구축하고 있는 미국과 전기차와 배터리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금년 4월 국내 기업이 니켈 등 대규모 광물 확보 및 배터리셀 생산을 위한 인도네시아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착공한데 이어 5월 중국 배터리 양극재업체와 공동으로 국내에 양극재 합작사를 설립하는 등 인도네시아, 중국 등 신흥국과 협력을 통한 시장지배력 확보를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는 국내 관련 인프라 확충과 함께 기업의 중국과 인도네시아 등 신흥시장 공략을 위한 정책지원도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정화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