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서울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 발표
'입지규제최소' 특례 적용 용적률 1500%↑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 조감도(안) /서울시 제공.
용산국제업무지구 조성 조감도(안) /서울시 제공.

[한스경제=문용균 기자] 용산정비창이 국제업무지구로 개발된다. 앞으로 이 일대는 초고층 빌딩 사이에 공원과 녹지가 펼쳐지고 일자리, 주거, 여가, 문화생활 등이 전부 내부에서 이뤄지는 '직주혼합' 도시로 조성된다. 외국 기업과 인재의 유치·정착을 위해 국제교육시설이나 병원과 같은 외국인 생활인프라도 들어선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26일 서울시청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구상' 기자브리핑을 열고 용산정비창 일대 약 50만㎡에 대한 개발 청사진을 공개했다.

서울시는 이 일대를 시 최초로 '입지규제최소구역'으로 지정, 법적 상한 용적률 1500%를 뛰어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서도록 할 계획이다. 전체 부지의 70% 이상을 업무·상업 등 비주거 용도로 채우며 전체 부지 대비 기반시설률(도로·공원·학교 등)은 40% 수준으로 정했다.

입지규제최소구역은 용도지역 등에 따른 입지규제를 적용받지 않고 건축물의 허용용도, 용적률, 건폐율, 높이를 별도로 정하는 규제특례다. 일례로 용산국제업무지구와 유사한 뉴욕 허드슨야드의 경우 최대 3300%까지 허용하고 있으며 평균용적률은 1800% 이상이다.

서울시는 국제업무지구로서의 상징성과 서울을 대표하는 경관창출을 위해 높이 제한은 최소화하되 통경축, 보행축과 주변지역을 고려한 스카이라인이 형성되도록 지침을 제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대규모 중앙공원과 철도부지 선형공원 등 녹지생태공간을 곳곳에 조성해 지상부의 50% 이상을 녹지로 확보한다. 차량은 지하로 달릴 수 있도록 지하교통체계를 구축한다. 녹지와 보행공간은 용산역과 용산공원, 한강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또 교통부터 방재·안전, 환경·에너지까지 ICT 기반 도시인프라를 갖춘 최첨단 스마트 도시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이다. 지하도로는 물론 미래교통수단인 미래항공교통(UAM) 등과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지하철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연계하는 복합환승센터 개념의 1호 '모빌리티 허브'가 들어선다.

이를 통해 용산을 서울도심과 강남, 인천공항과 수도권 전역을 연결하는 신(新) 교통거점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사업 방식도 신경을 쓴다. 서울시는 과거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무산된 원인 중 하나였던 민간 PFV(프로젝트금융회사) 주도의 통개발 대신 공공기관인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사업시행자로서 사업을 추진하는 단계적·순차적 개발로 추진한다.

SH공사와 코레일은 지난해 5월 공동사업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안정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별도의 전담조직 '용산개발청'(가칭) 구성을 검토한다. 용산역 인접 부지에 코레일이 건물을 지은 뒤 임대·분양하는 선도사업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공공이 약 5조원의 재원을 투자해 부지 조성과 인프라 구축을 먼저 시행하고 민간에서 개별 부지별로 하나씩 완성해가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내년 상반기까지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2024년 하반기 기반시설 착공, 2025년 앵커부지 착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문용균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