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대주주 산은 "경영 컨설팅 중이나 분리매각 검토 없어" 일축
일각에선 '현실론' 들어 민수·방산 분리매각 차선책 의견 제기
노조 및 조선업계 "상선 분야 해외 별도 매각, 기술 유출 우려" 반대
사진=대우조선해양
사진=대우조선해양

[한스경제=김현기 기자] 협력업체(하청) 노사 협상 타결로 한숨 돌린 대우조선해양이 분리매각 가능성으로 다시 어수선한 분위기다. 대우조선 최대주주 산업은행은 일단 분리매각 방안에 선을 그었다. 그러나 새 주인 찾기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고려할 때 현실 가능한 대안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산은은 최근 "방산 부문 분할 매각을 포함한 어떤 방안도 현재까지 논의되지 않았다"며 일각에서 제기한 방산과 상선의 분리매각을 적극 반박했다. 산은 관계자는 "대우조선 정상화를 위한 경영 컨설팅을 진행하고는 있지만 사업별로 나눠 M&A를 하는 구상 등은 아직 없다"며 구체적인 회생안 수립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분리매각이 이번에 처음 거론된 것은 아니다.

지난 1월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 인수가 LNG선 독과점을 이유로 든 유럽연합(EU)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된 뒤 한 차례 수면 위로 떠오르기는 했다. 하지만 이동걸 전 회장이 임기 도중 사임하고 강석훈 새 회장이 오는 등 정권 교체기와 맞물려 산은이 재정비에 들어간 터여서 분리 매각 방안이 큰 주목을 받진 않았다.

그러나 하청노조 파업으로 1도크가 점거되고 선박 진수가 미뤄지는 등 대우조선이 올 여름 홍역을 앓으면서 매각 문제를 어떻게든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커졌다. 이에 따라 분리 매각도 차선책으로 꼽히는 중이다.

대우조선은 산업은행 산하 채권단 체제에서 20년 넘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원청과 하청을 포함해 10만명 일자리가 달려 있다보니 구조조정이나 청산 등을 검토하지 못한 채 공적자금만 11조원이 투입되면서 연명하는 상황이다. 하청기업 노동자들이 지난 10여년간 임금 삭감 등으로 고통받은 것도 대우조선이 당장 생존에 치중한 것과 무관하지 않다.

다만 2008년 한화그룹, 올 초 현대중공업그룹과 진행했던 M&A가 모두 무산되면서 대우조선 전체를 인수할 국내 기업을 찾기 어려워졌다.

특히 대우조선은 상선, 플랜트 등 민수 분야와 함께 군함, 잠수함 등 국가 방위와 연관된 방산사업을 함께 하다보니 인수 후보자 물색에 제한이 있었다. 분리 매각을 추진하면 M&A에 나서는 주체가 다양해질 수 있다는 게 산업계 판단이다.

대우조선에 따르면 방산 부문은 전체 매출의 10% 안팎을 차지한다. 덩치가 크면서 LNG선 호황 등으로 향후 3년치 일감을 받아놓은 민수 분야를 사모펀드나 해외 기업에까지 문을 열어 놓고 방산은 책임감 있는 국내 기업에 맡기는 것이 분리매각의 요체다.

하지만 분리매각 역시 원청노조의 반대 등 문제점을 갖고 있어 현실화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우선 대우조선 노조가 분리매각 가능성에 대해 '해외매각을 위한 사전 작업'에 불과하다며 수 차례 강한 반대 의사를 내비친 상태다. 노조 측은 "외국 자본에 두 번이나 내다팔아 빈껍데기가 된 쌍용차가 좋은 사례"라고 꼬집었다. 매각에만 골몰하다가 또 다른 실책과 갈등을 저지를 수 있다는 얘기다. 이번 하청노조 파업에서 원청인 대우조선 노조가 사측 편을 들었기 때문에 산은이 노동자 목소리를 쉽게 외면할 수 없는 것도 딜레마다.

기술 유출 우려도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조선업은 한국 등 몇몇 나라만 영위할 수 있는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분리 매각에 따라 해외기업에 파는 것은 물론 사모펀드에 넘겨 대우조선이 M&A를 몇 차례 더하는 상황 등은 기술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현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