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조3328억원 규모, 2046~2048년 만기 전환사채
올해까지 이자율 1%…내년부터 10% 이상 가능성↑
10% 적용시 재무건전성에 큰 걸림돌 작용 가능성
1% 또 적용하면 특혜시비 나올 수 있어
"매각 진행하면서 이자율 조정하는 게 합리적"
서울 중구 대우조선해양 본사. /연합뉴스
서울 중구 대우조선해양 본사.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현기 기자]한국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해 다시 팔을 걷어붙였다. 최근엔 강석훈 산은 회장이 대우조선을 민수와 군용으로 분리해 각각의 사업을 따로 매각할 수 있다는 의향도 내비쳤다.

마침 지난달 불거진 하청기업 노조의 도크 점거 파업은 대우조선을 더 이상 국책은행 아래 두는 비정상적 경영 상태로 놔둬선 안 된다는 국민적 공감대를 불러일으켰다.

산업계에선 대우조선이 맞딱트릴 ‘이자 폭탄’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새 주인 찾기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특히 2조3328억원 규모의 30년짜리 영구채를 발행해 지금까지 연 1%의 낮은 이자만 적용받다가 내년부터 연 10% 고리로 내야 하는 상황은 대우조선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M&A 추진에도 큰 걸림돌이다.

대우조선은 오는 2046∼2048년에 상환하는 만기 30년짜리 전환사채(CB)를 총 2조3328억원 규모로 떠안고 있다.

대우조선이 수출입은행에 진 빚을 갚지 못하자 수은이 무보증 CB로 돌린 것이다. 특히 2조원 이상의 부채가 추가될 경우 안 그래도 수백%인 대우조선 부채비율이 1000%를 훌쩍 넘어갈 수 있어 자본으로 분류되는 영구채로 전환했다.

국제회계기준 상 영구채는 만기가 없거나 만기를 발행회사 재량에 따라 계속 연장할 수 있어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분류된다. 수은은 해당 영구채 이율을 1%로 책정했으며 대우조선 경영 사정에 따라 이자 납부를 계속 미룰 수 있도록 했다. 대우조선은 이를 이용해 다른 차입금 이자는 갚아나가면서도 영구채 이자 지급은 계속 늦추고 있다. 미룬 이자는 1132억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은이 국책은행인 점을 감안하면 대우조선은 세금으로 막대한 돈을 지원받아 이자도 내지 않는 특혜를 받는 셈이다.

문제는 해당 영구채 이자율 1%가 올해 말까지만 적용된다는 점이다. 당초 지난해 말까지 1%였으나 1년 유예했다. 내년부터는 영구채 이자율이 대우조선과 같은 신용등급(BBB-)의 5년 만기 회사채 민평금리에 0.25%포인트를 가산한 것으로 바뀐다. 올 상반기 금리 급등으로 BBB- 등급 5년 만기 회사채 금리는 최근 10%를 넘나들고 있다. 대우조선 입장에선 영구채 이자율이 순식간에 10배 올라 연간 233억원 내야햤던 이자가 2333억원으로 변한다.

올 1분기 연결기준 대우조선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1조1744억원, 단기금융상품은 2669억원이다. 지난해 낸 금융비용 7614억원을 감안하면 내년부터 대우조선은 연간 금융비용만 1조원을 내야하는 상황에 몰린다.

안 그래도 금융비용이 많고 부채비율이 높아 매각 및 기업가치 산정에 장애물이 되고 있는데 영구채 이자율까지 폭등하면 대우조선 경영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수 있다.

그렇다고 지난해처럼 이자율을 1%로 1년 혹은 수년 더 유예하면 "우량기업도 올해 들어 4∼5%대 금리로 어렵게 자금을 차입하는데 대우조선에 너무 특혜를 제공하는 것 아니냐"는 시비에 휘말릴 수 있는 게 현실이다.

영구채 전환가액이 4만350원이어서 당분간 주식 전환도 어렵다. 대우조선 주가는 지난해 5월 4만750원을 찍은 뒤 계속 내려와 최근 2만원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다. 영구채는 공적자금으로 연명하는 대우조선이 숨길 수 없는 고민이다.

대우조선은 영구채 관련 채무자여서 할 말이 없다는 반응이다. 수은은 대우조선 대주주인 산은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정부와도 영구채 이자율 조정 가능성을 협의해 나간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자율 조정을 매년 되풀이할 수 없어 근본적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수은이 영구채 이자율을 1%로 1년 더 유예한 배경엔 당시 추진되고 있던 현대중공업그룹과의 M&A 부담을 덜어주려는 차원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은 매각 딜이 깨졌기 때문에 1%를 또 유예할 명분이 없다. 결국 정부나 산은이 다시 나서 대우조선 새 주인 찾기에 드라이브를 걸어야 영구채 이자율 조정 논의도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