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김동관, ㈜한화 지분율 4.44%에 불과
아버지 김승연 회장 주식 물려받으면, 현 기준 세금만 3100억
지분율 50%인 한화에너지 통해 그룹 장악 시나리오 대두
"꼼수 논란 부담스러울 것"…지분 취득, 수증 통한 정공법 가능성도
김동관 부회장. /사진=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 /사진=한화그룹

[한스경제=김현기 기자] 한화그룹이 오너가 3세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을 ㈜한화 부회장으로 발령내면서 승계에 속도를 붙이고 있습니다. 아버지 김승연 회장 바로 밑까지 왔으니 경영권 물려받는 것은 거의 이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셈이 됐습니다.

김 회장 장남으로 올해 만 39세인 김 부회장은 재계에서 가장 화려한 ‘스펙’을 자랑합니다. 세계 최고 명문대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고, 2010년 한화그룹에 차장으로 입사한 뒤 12년 만에 부회장까지 오르는 등 고속 승진을 했기 때문입니다.

입사 이듬해 한화솔라원(현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으로 옮긴 뒤 10여년 넘게 친환경 태양광 사업을 지휘, 최근 들어 성과를 내는 것도 주목할 만합니다. 국제에너지계의 ‘탈러시아’ 바람, 미국과 유럽의 중국 태양광기업 배제 움직임이 더해지면서 한화솔루션의 위상이 가파르게 상승하는 중입니다. 그룹 안팎에선 김 부회장의 ‘뚝심’이 빛을 발했다고 봅니다.

이제 관건은 경영권이 아닌 지분 승계입니다.

지분 승계는 아직 갈 길이 멀기 때문입니다. 재계에서도 여러 시나리오를 거론하며 김 부회장의 ‘대관식’이 언제 이뤄질지 궁금해하고 있습니다.

한화그룹은 ㈜한화와 한화에너지, 두 회사가 그룹 지배구조 상단에 자리잡은 구조입니다.

우선 ㈜한화는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아닙니다.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는 지주비율(자회사 주식가액 합계)이 50%를 넘어야 하는데 ㈜한화는 지난해 말 48%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한화생명보험 43.24%(연내 한화건설 흡수합병할 경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3.95%, 한화솔루션 36.10%, 한화정밀기계 100% 등 월등한 지분율을 앞세워 자회사들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김 부회장의 ㈜한화 지배력이 낮다는 점입니다.

㈜한화의 최대주주는 보통주 22.65%를 갖고 있는 김 회장이며, 비상장사 한화에너지가 9.70%로 그 다음입니다. 이어 김 부회장이 4.44%, 김 부회장의 큰 동생 김동원 한화생명 부사장, 작은 동생 김동선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상무가 나란히 1.67%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2조3000억원 수준인 ㈜한화 시가총액을 고려하면 김 회장이 보유 지분 전부를 큰 아들에게 물려줄 경우, 김 부회장은 최대주주 할증율을 적용받아 3100억원 가량의 증여세를 내야합니다. 하지만 세액이 상당히 크고, 김 회장이 아들 3명 중 큰 아들에게만 몰아주는 것도 비현실적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일각에선 적당한 시점에 ㈜한화와 한화에너지가 합병하지 않겠느냐는 주장을 펼칩니다.

특히 김 부회장이 50%, 김 부사장과 김 상무가 각각 25% 등 한화에너지 지분 전체를 김 회장 세아들이 나눠 갖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런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한화그룹 지배구조를 단순하게 표현하면 김승연 회장→㈜한화, 김동관 부회장→한화에너지→㈜한화 등 상층부가 둘로 갈라지는 셈입니다. 한화에너지가 지주사격인 ㈜한화를 일정 부분 지배하고 있어 ‘왕지주사’로 불릴 만합니다.

이에 따라 한화그룹이 한화에너지 기업 규모를 최대한 키운 뒤 ㈜한화와 합병을 시도, 김 부회장의 ㈜한화 지분율 높일 확률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다만 재계에선 한화에너지가 아직 가치 산정이 불분명한 비상장사여서 두 회사 합병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승계 위한 편법 혹은 꼼수 아니냐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는 얘깁니다.

지난 6월말 별도기준 두 회사 자산규모는 ㈜한화가 8조5728억원, 한화에너지 3조3771억원으로 ㈜한화가 2.5배 많습니다.

꼼수 논란 가능성 등으로 오히려 김 부회장이 ㈜한화 지분율을 꾸준히 늘리면서, 아버지 주식을 점진적으로 수증하는 ‘정공법’ 확률도 적지 않은 것으로 여겨집니다.

새정부 출범 뒤 "대기업 오너가 상속 및 증여세 부담을 덜어줘야하는 것 아니냐"는 움직임도 있어, 김 부회장은 정부 정책까지 예의주시하며 지분 승계를 중장기적으로 진행하지 않겠느냐는 뜻입니다.

김현기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