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옛 미전실 소속 직원 복귀 의사 타진
이재용 회장 승진설…뉴삼성 체제 실현 조직 필요
컨트롤타워 형태 SK수추협 방식 택할 가능성 높아
"준법위·별도 감시 조직으로 리스크 통합 관리 중요"

[한스경제=최정화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뉴삼성 비전을 실현할 컨트롤타워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삼성이 과거 미래전략실 전철을 밟지 않고 어떤 조직 형태로 준법경영 리스크를 관리할지 또 뉴삼성이 새 컨트롤타워로 인해 어떤 모습으로 변모할지 재계 안팎 이목이 쏠린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이 부회장이 복권 후 경영 보폭을 확대함에 따라 올해 하반기 이 부회장 회장 승진설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2017년 폐지됐던 미전실과 같은 컨트롤타워가 공식 조직으로 부활할 것이란 전망이 또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다. 이 부회장 체제 경영지원을 뒷받침하고 그룹 소통과 60개 계열사간 시너지를 내기 위해선 컨트롤타워 재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재계에 따르면 현재 삼성전자는 수원 사업장을 비롯해 화성과 용인, 기흥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옛 미전실 소속 직원에게 복귀 의사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안을 받은 대상자는 인사, 재무, 사업지원, 대관, 전략기획 등을 담당했던 차·부장급 직원으로 전해졌다. 일반적인 근무지 변경일 것이란 추측이 나온 반면 연내 이뤄질 이 부회장 승진시기와 맞물려 있는 만큼 컨트롤타워 재건을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옛 미전실과 같은 전형적인 컨트롤타워보다는 SK수펙스추구협의회처럼 계열사간 협의를 주도적으로 이끄는 방식을 채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SK수펙스추구협의회는 각 계열사 선임 경영진들이 모여 계열사 자율경영을 지원해 주는 조직이다. SK그룹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이 협희회는 2013년 공식 출범해 그룹 내 최고 의사결정협의체로 자리잡았다.

삼성SDS 잠실 캠퍼스를 찾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회사 로비에서 기다리던 삼성SDS 직원들과 인사를 나누면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SDS 잠실 캠퍼스를 찾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회사 로비에서 기다리던 삼성SDS 직원들과 인사를 나누면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삼성그룹은 지난 2017년 국정논단 사건으로 미전실을 해체한 이후 5년간 컨트롤타워가 부재인 상황이다. 고 이건희 회장 당시에도 특검으로 미전실 전신인 구조조정본부가 해체됐지만 2년 만에 부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번처럼 장기간 컨트롤타워가 부재한 적은 없었다. 

물론 △삼성전자 '사업지원' △삼성생명 '금융경쟁력제고' △삼성물산 '설계·조달·시공(EPC) 경쟁력 강화' 등 사업별로 각각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조직이 그룹 전체 사업 방향 설정과 계열사별 현안을 조율하지 못하고 있어 미전실과 비교해 효율이 떨어진단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재계 일각에서는 컨트롤타워가 없는 삼성을 길 잃은 항공모함에 비유하며 그룹 차원 전략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면서 구심점 역할을 할 조직 신설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삼성이 오너 경영과 전문경영인, 컨트롤타워 등 삼각편대 체제가 완성되면 그동안 미뤄왔던 인수합병(M&A) 등이 활기를 띨 가능성이 높다"며 "삼성 특유의 신속한 의사결정으로 선제적 투자는 물론 계열사 전체가 위기 돌파 태세를 갖추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컨트롤타워가 부활할 경우 과거 미전실의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면서 법적지위와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이 관계자는 "삼성이 새 컨트롤타워를 구성한다면 삼성준법위원회와 함께 내부 조직에서도 컨트롤타워 준법 위반을 감시하는 별도 기구를 만들어 삼성 리스크를 통합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최정화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