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기술보증기금, 탄소가치평가 기반 녹색금융 지속 확대 계획" 
중기부, 제2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개최  
'탄소중립 기술혁신 콘퍼런스'서 중소기업 전략·지원방안 소개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기술보증기금의 탄소가치평가에 기반한 녹색혁신금융사업(녹색보증)이 6500억원가량 지원하거나 지원할 예정인 올해 기준, 지원받은 기업들에 한해 향후 10년 동안 약 24만톤(t)의 탄소 감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대원 기술보증기금 단장은 1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개최한 제23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의 '탄소중립 기술혁신 콘퍼런스'에서 '탄소가치평가 기반 탄소중립 중소기업 지원 체계'를 주제로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탄소가치평가모델은 탄소감축 기술사업에 의한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측정하고, 화폐가치로 환산·평가하기 위한 모델이다. △온실가스 감축기간 결정 △추정감축량 산정 △감축량 가치환산 △현재 가치화(할인율 적용) △탄소가치 산출 절차 순으로 이뤄진다. 

탄소가치평가 적용 분야는 모든 중소기업이 해당된다. 기존에는 녹색기술을 영위하는 업종을 중심으로 지원했지만, 탄소가치평가보증의 개념은 탄소배출을 많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뒀다. 이는 해당 기업들을 지원했을 때 탄소감축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때문에 전통 중소기업, 혹은 제조기업들이 주요 지원대상이 된다. 녹색기술이나 녹색업종이 아니더라도 탄소배출량이 많고, 관련 설비를 구입할 자금이 부족하다면 탄소가치평가보증을 통해 지원받을 수 있다. 

기대되는 탄소감축 효과를 보면 기술보증기금 분석 결과, 탄소가치평가 기반 녹색금융 1억원을 지원 받은 기업에서 10년 동안 약 36.4톤의 탄소감축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6500억원가량 지원하거나 지원할 예정인 올해의 경우는 지원받은 기업들에 한해 10년 동안 24만톤 가량 탄소감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대원 단장은 "앞으로도 (녹색금융은) 이런 방향으로 보증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대원 기술보증기금 단장이 1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개최한 제23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의 '탄소중립 기술혁신 콘퍼런스'에서 '탄소가치평가 기반 탄소중립 중소기업 지원 체계'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ITS TV 유튜브 중계화면 캡처 
김대원 기술보증기금 단장이 19일 중소벤처기업부가 개최한 제23회 중소기업 기술혁신대전의 '탄소중립 기술혁신 콘퍼런스'에서 '탄소가치평가 기반 탄소중립 중소기업 지원 체계'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ITS TV 유튜브 중계화면 캡처 

김 단장은 지난해 12월 기술보증기금이 정부의 탄소중립선언 1주년을 맞아 중소기업의 탄소중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도 공개했다. 24개 업종·종업원수 10인 이상 37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 그 중 560개 기업이 응한 이 조사에서 탄소중립에 대해 알고 있는 기업은 48.9%였으며, 탄소중립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43%였다. 

탄소중립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은 6.6%였다. 이들 기업 중 54.1%는 '영위 중인 사업과 (탄소중립이) 무관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탄소중립 정책이 기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36.9%였다. 이들 제조비용 상승을 이유로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탄소중립 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41%였다. 이들 기업은 '친환경기업 이미지 구축'과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매출 증대'를 이유로 꼽았다. 

'탄소중립을 준비 중'이거나 '준비할 계획'인 기업은 72%였다. 준비하고 있는 분야는 '에너지 다소비 기기의 교체'가 가장 많았고, '저탄소·친환경 기술제품 개발'이 뒤를 이었다. 

김 단장은 "이들 기업은 저탄소·친환경 경영을 떠나, 이것이 비용절감·생산성 향상과 직결되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그냥 (탄소중립 준비를) 하는 것보다는 탄소배출량을 정확히 산출하고, 감축량의 변화를 토대로 향후 계획과 전략을 세워야 비용절감 외에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중소기업들은 저탄소·친환경 경영으로 전환하기 위한 과정에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비용부담'을 꼽았다. 이어 '정보 및 지식부족' 순이었다. 김 단장은 "중소기업은 탄소배출량을 자체적으로 계산하고 관리하기 어려운데다, 컨설팅을 받기에도 비용 부담이 만만치 않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이 탄소중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애로사항과 투자가 필요한 부분. / 기술보증기금 
중소기업이 탄소중립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애로사항과 투자가 필요한 부분. /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의 해당 조사를 통해 의미 있는 시사점도 발견됐다. 지난해 1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조사에서 '탄소중립을 준비할 계획이 없다'는 중소기업은 56.1%였으나, 같은 해 5월 경기연구원의 조사에서는 52.3%로, 8월 경기도청 조사에서는 38%로 줄었다. 12월 기술보증기금 조사에서는 28.3%로 나타났다. 반면, '준비할 계획'이거나 '준비 중에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43.9%에서 47.7%, 61%, 72.1%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김 단장은 "(탄소중립에 대해) 정부와 대기업이 알아서 할 일이고, 중소기업과는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응답자가 크게 줄었다"며 "(최근에는) 오히려 중소기업에서 자발적으로 빠르게 대응한다면 친환경 이미지를 구축하고, 경쟁력 확보를 통한 매출증대의 기회로 인식하는 응답자들이 증가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날 김 단장 발표에 앞서 '중소기업 탄소중립 및 탄소 배출원의 이해'를 주제로 발표한 윤찬식 한국표준협회 연구소장은 탄소중립의 실질적 개념을 강조했다. 

윤 소장은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무조건 0(제로)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다"라며 "핵심목표는 스스로 배출하고 있는 탄소의 양을 파악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계획대로 감축하지 못했을 때는 어떤 방법으로 줄일 것인지 노력하는 것"이라고 제언했다. 

또한, 윤 소장은 "(탄소중립과 관련해) 당장의 목표나 필요성이 제기되지 않는 중소기업이라고 할지라도 탄소국경조정세 등 탄소배출에 대한 국제적 압박이 있으니, 정부의 지원책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현재 탄소중립으로 가고 있는지, 해외 기업들과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동용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