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국회 기후위기그린뉴딜연구회·양이원영 의원, 재생E 확대 방안 토론회 개최 
김태한 CDP한국위원회 수석연구원 "재생E 공급 속도, RE100 확산보다 늦을 수도"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실장 "지난해 국내생산 재생E, 5대기업 사용량보다 부족" 
국회 기후위기그린뉴딜연구회와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RE100 확산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 확대'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 세번째부터) 양이원영 의원, 김녹영 대한상공회의소 탄소중립실장, 김태한 CDP한국위원회 수석연구원. / 양이원영 의원실 제공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인 'RE100'에 가입하는 국내 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공급이 RE100 가입 기업 확산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는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공급폭탄' 정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회 기후위기그린뉴딜연구회와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RE100 확산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 확대' 토론회를 개최했다. '한국형 그린부양안 마련을 위한 연속 세미나'의 세 번째 토론회다.

이날 발제를 맡은 김태한 CDP한국위원회 수석연구원은 "국내 기업들의 RE100 가입률이 (글로벌 수준과 비교해) 낮은 이유는 가입 기준이 다소 까다롭게 느껴지기 때문"이라며 "RE100에 가입하지 않은 대표적 섹터가 건설 부문이다. 하지만 건설 기업들도 내부적으로는 가입을 검토하고 있고, 자체적으로 목표를 수립해 발표하겠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현재 국내 건설기업들의 RE100 가입률이 낮은 이유는 "국내 석탄발전소 건설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가입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RE100 가입 기업은 SK·아모레퍼시픽·한국수자원공사·KB금융그룹·미래에셋증권·인천국제공항공사·현대자동차·기아·네이버·LG이노텍·삼성전자·KT 등 27개사(社)다. 김 수석연구원은 내년 중 최소 30개 기업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수석연구원은 "RE100 가입 기업의 재생에너지 소비현황을 보면 2020년 기준 대략 45% 정도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며 "국내에서 조달을 했다기 보다는 해외사업장에서 조달이 용이한 점을 적극 활용한 전략이었다. 국내 RE100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사용비율 증가가 국내 수급보다 기업 자체 전략에 달려 있었던 이유"라고 설명했다. 

이어 "RE100 기업이 늘어나면 당연히 재생에너지 수요도 늘어난다"며 "RE100 기업들이 빠르게 늘어가고 있고, 국내 기업들의 전략 사용량도 늘어나고 있는 부분까지 고려하면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 공급량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이처럼 문제는 국내 재생에너지 비율이 낮다는 점이다.  RE100에 가입한 국내 27개 기업의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전체 전력 사용량은 약 77TWh(테라와트시)다. 국내사업장만 적용하면 60TWh가량으로 파악된다. 

김 수석연구원은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율을 21.5% 정도로 늘리면 100TWh 정도 되기 때문에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수급에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지만, RE100 가입 기업들은 상당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의 전력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부분까지 고려하면 (국내 재생에너지 생산량은) 부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값싼 에너지 공급은 산업화시대 한국기업들의 성장 원동력이었다. 이제 세계는 값싼 재생에너지 확보·공급이 국가경쟁력의 척도가 되고 있다"며 "시장원리가 제대로 작동한다면, 가격이 내려가려면 공급이 늘어야 한다.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재생에너지 공급폭탄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RE100에 가입할 의향이 있는 기업은 많기 때문에 RE100 확산은 큰 문제가 없지만, 재생에너지 공급이 따라갈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며 "민간의 수요 창출은 기대에 맞게 따라간다. 최근 국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가 낮아지다보니 수요에 공급이 따라갈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에 그는 "정책이 중장기적으로 어떤 시그널을 보내는지에 따라 시장이 움직이는 측면이 있다"며 "당장 공급을 늘리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값싸고 빠르게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 시그널을 보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RE100 확산에 따른 재생에너지 수요 확대' 토론회에 참석한 양이원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 양이원영 의원실 제공 

이어진 토론에서는 김녹영 대한상공회의소 탄소중립실장이 RE100 기업 현황과 재생에너지 수요·공급과 관련 견해를 밝혔다. 

김 실장은 "대한상의가 올해 8월 국내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공급망에서 전체 기업의 15% 정도가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를 받았고, 대기업은 29% 정도가 받고 있다고 한다"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전기차 배터리를 납품하는 업체 중 일부는 당장 100%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라는 요구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전기차 배터리를 납품하는 업체들은 해외에 진출한 공장을 통해 일단 납품하고 있지만 국내는 여건이 좋지 않다"며 "배터리제품은 탄소발자국 분석을 통해 일정 탄소배출량 미만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재생에너지 공급을 충족하려면 협력사의 도움도 필요하다. (때문에 재생에너지 공급은) 몇몇 대기업의 문제가 아니고, 중소·중견기업까지 영향을 받는 이슈"라고 강조했다. 

이어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를 받은 시점은 2030년 이후가 38%로 가장 많았고, 2025년까지가 33.3% 정도 된다"며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요구받은 기업은 9.5% 정도다. 3분의 1 이상 기업들이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RE100 가입의 애로사항은 '비용'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고, 이어 '제도와 정책'을 꼽았다"며 "앞으로 어떤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는 해외기업들이 재생에너지를 조달하는 비용보다 국내기업이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있기 때문에 '인센티브를 더 부여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고 말했다. 

김 실장 역시 공급부족 문제에 대해 거듭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국내전력 소비 30대 기업에 대한 전력 판매실적을 보니, 103TWh 정도 전력 소비를 했고, 그 중 5대 기업은 48TWh 정도 전력 소비를 했다"며 "하지만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3TWh다. 5대 기업이 소비한 전력량보다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향후 RE100 가입 기업들이 더 늘어나고,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은 시한이 가까워질 수록 재생에너지 공급 부족 문제가 이슈가 될 것"이라며 "RE100 기업들이 공급부족과 비싼 가격을 핵심과제로 꼽은 만큼, 재생에너지 확보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동용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