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PF리스크 고위험 시점 내년 초 전망
‘서울’ 규제지역 해제 등 과감성 필요
수도권 내 아파트 공사 현장. / 서동영 기자
수도권 내 아파트 공사 현장. / 서동영 기자

[한스경제=서동영 기자] 정부와 건설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상황을 상반된 시선으로 보고 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심각하지 않다”며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반면, 건설업계는 “조마조마하다”며 잔뜩 긴장한 모양새다. 

업계에선 PF리스크의 고위험 시점을 내년 초로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PF의 위기를 막기 위해 유동성 공급과 서울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는 등 과감한 부동산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13일 정부 등 관련 업계에 따르면 원희룡 장관은 지난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경착륙 방지 대책을 밝히면서 PF에 대해 “금융경색까진 아니라고 판단한다”며 “심각 단계에 따라 완화 플랜은 짜놓고 있다”고 말했다.

원 장관은 “괜찮다”고 말하지만 실제 PF 상황은 심상치 않다. 한 증권사 PF 담당자는 “현재 PF 선순위 이자가 10%대로 굉장히 높다. 후순위는 말할 것도 없다”며 “최근 회사채(CP) 등 금리가 더는 오르지 않고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나아질 분위기는 절대 아니다”라며 자칫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종대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 대표는 최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23년 주택시장 전망’에서 “고금리와 집값 급락으로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현재 부동산 PF가 거의 중단됐다. 브릿지론과 ABCP(자산담보부 어음)로 지원한 자금 대환이 막혀 건설업체 자금난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 내년 1~2월 심각 전망, 큰 폭 규제 완화 등 빠른 대응 필요...대형사도 쓸러질 판?

건설사들도 책임보증, 연대보증 등을 통해 PF에 관련돼 있다. 건설업계와 전문가들은 PF에 대해 시급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서종대 실장은 “현재 상황이 계속되면 내년 상반기 보유현금이 부족한 건설업체부터 부도가 속출하고 하반기부턴 이들 업체에 자금을 지원한 2금융권의 부실로 이어지면서 우리 경제에 2차 충격이 가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도 “내년에 대형건설사 중 하나라도 쓰러질 경우 그 파장은 예측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특히 내년 1~2월이 위험하다는 전망이다. 김정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은 “분양시장이 지금처럼 얼어있으면 (PF리스크 폭발은) 시간문제라고 봐야 한다. 내년 1~2월이 많이 위험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당장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여러 가지 대책이 있지만 우선 PF에 대한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해 PF 신용보강을 맡은 시공사들에 대한 유동성 공급장치를 신속히 마련해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서울은 규제지역에서 해제가 되지 않았다. 지금이라도 (서울을 규제지역에서)풀어야 거래가 활성화된다”며 큰 폭의 부동산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원희룡 장관은 간담회에서 “부동산 규제를 해제한다고 해서 거래가 활성화될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서동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