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6.3%…1998년 이후 연달아 높은 수준 물가 상승률 기록
연준 자이언트스텝으로 한미 금리차 역전…이달 한은 금통위 금리 인상폭 관건
우리나라의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로 나타나며 2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를 고려해 한국은행은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로 나타나며 23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를 고려해 한국은행은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한결 기자] 국내 소비자물가가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74로 지난해 동기보다 6.3%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6%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23년 8개월만의 처음이다. 문제는 앞으로 소비자믈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며, 일각에선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기준 금리가 역전된 만큼, 한국은행(한은)이 8월 금융통화위원회를 통해 빅스텝(0.5%p 금리 인상)을 단행하는 것이 아니냐하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지난 6월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동월 대비 6.0%가 상승했다, 이는 23년 7개월 만의 이례적인 물가 상승률이었다. 이에 한은은 지난달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통해 빅스텝을 밟았다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3%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달 연속 6%를 넘은 것은 1998년 10~11월 이후 처음이다. 

문제는 향후에도 이처럼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률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어는 9월이나 10월 물가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명절을 맞아 농·축·수산물 가격이 상승할 수 있는 만큼, 당분간 고물가 우려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국내 금리 인상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역전된 만큼, 한은은 이달 25일 열리는 금통위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상승폭이 0.25%포인트(p)에서 그칠 것일지 아니면 다시 한 차례 빅스텝을 밟을 것일지를 두고 한은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지난달 2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재차 자이언트스텝(0.75%p 금리 인상)을 밟으며 기준 금리를 2.25~2.50% 로 끌어올렸다. 이에 기준 금리가 2.25%인 우리나라에 비해 미국의 금리가 높아졌다. 

연준은 올해 남은 FOMC 정례회의를 통해 꾸준히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미국과 우리나라의 금리차는 더욱더 벌어질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은 올해 말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가 3% 중후반까지 오를 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지난달 28일 '미국과 한국의 적정 기준금리 추정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변동 등을 반영한 미국의 적정 기준금리 수준을 3.12%로 상향 수정했다. 또한 한미 적정 기준금리 차는 우리나라가 0.53%p 가량 높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적정 기준금리 차를 유지하기 위해선 한은이 기준금리를 1.4%p 인상한 3.65%까지 올려야 한다고 전망했다.

이처럼 물가상승이 이어지고 우리나라와 미국간의 금리차를 고려한 다면, 한은은 8월 금통위 정례회의를 통해 빅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창용 한은 총재가 지난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를 통해 "물가와 성장 흐름이 기존의 전망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기준금리를 0.25%p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힌 만큼, 급격한 금리 인상을 서두르지 않을 수 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일 '2022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관련 정책 브리핑에서 "최근 들어 대외적 불안 요인이 완화하는 조짐이 있다"며 "지난해 8~9월 비교적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어느 정도 작용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다음달에는 오름세가 그렇게 확대되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밝힌 것처럼 “9월이나 10월 물가가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면 기준 금리 인상폭도 줄어들 수 있다는 말이다. 

김한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