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난해 정신질환 내원환자 약 405만명…코로나19 이전 비해 12% ↑
정신질환 진료 공무원 10명 중 8명, 우울증·불안장애·스트레스 호소
최혜영 의원 “코로나19 대응 헌신 공무원 위해 국가가 마음방역 힘써야 할 때”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한민국 국민 정신건강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K-방역의 최전선에서 헌신한 공무원의 우울감 지표가 심각한 수준으로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혜영 의원/제공=의원실
최혜영 의원/제공=의원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5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년) 정신질환으로 병원을 방문한 전체 환자수는 코로나19 국내발생 이전이었던 2019년 362만7452명에서 국내발생 이후인 작년 405만8855명으로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11.9% 증가했다.

의료보장 형태별의 경우,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의료급여 수급권자와 건강보험 가입자의 정신질환 진료인원은 각각 6.6%, 12.6%씩 늘어났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정신질환 진료를 본 건강보험 가입자의 증가율이 의료급여 수급권자 보다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작년을 기준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이전이었던 2019년에 비해 정신질환 진료 증가폭이 가장 큰 연령은 20대로 30.4% 증가(2019년 31만6643명→2021년 41만2820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10세 미만(19.7%)과 30대(18.2%)가 그 뒤를 이었다.

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최혜영의원실 재구성
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최혜영의원실 재구성

한편 정신질환 진료 현황을 건강보험가입자의 가입자격에 따라 나눠 살펴본 결과, 코로나19 이후로 직장가입자(21.3%)의 정신질환 관련 진료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양자(7.7%)의 증가율에 비교하면 약 3배에 달하는 규모이다.

코로나19 전후로 직장가입자의 정신질환 증가폭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경향성은 우울증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증 등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에서도 직장가입자의 증가율이 26.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최혜영의원실 재구성
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최혜영의원실 재구성

 

지난해 기준 코로나19 이후 직장가입자의 우울증 등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 현황을 보면, 코로나 이후 우울증 등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 비율이 가장 크게 증가한 업종은 공무원인 가운데 △교육서비스업 △공공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부동산·임대·사업서비스 △전기·가스·수도사업이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전후로 다빈도 정신질환 진료 증가율이 가장 크게 나타난 공무원 진료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 정신질환 진료실인원 6만5154명 중 5만1513명(79.1%)이 다빈도 정신질환으로 진료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 진료를 위해 병원 문을 두드렸던 공무원 10명 중 8명이 우울증·스트레스·불안장애 등을 겪고 있는 것이다.

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최혜영의원실 재구성
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최혜영의원실 재구성

 

이에 대해 최혜영 의원은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불안과 우울감을 호소하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정신질환을 겪는 직장인의 비율이 피부양자나 지역가입자보다 월등히 높은 점은 여전히 대한민국의 노동조건이 직장인들의 정신 건강에 열악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국민들의 방역을 위해 애써주신 공무원들의 노고가 컸지만, 코로나19 이후로 공무원의 자살 순직이 150%나 증가했고 질병휴직을 낸 공무원도 60% 가까이 많아졌다”며, “이러한 배경에는 정신과 진료를 받은 공무원이 대다수가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를 호소했다는 이번 조사 결과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그간 공무원의 희생·헌신으로 대한민국이 K-방역이라는 당당한 이름표를 얻을 수 있었던 만큼, 이제는 국가가 나서서 밤낮도, 휴일도 없이 국가를 위해 헌신한 공무원의 마음방역을 위해 힘써야 할 때”라며, “복지부는 관련부처와 함께 정신질환으로 어려움을 겪는 직장인들을 위해 직업 특성과 유형에 맞는 정신건강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