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정부-포스코, 정상화 시점·책임 소재 등 입장 차
포스코 "연내 전제품 생산 가능…내년 2월 정상화"
화물연대 파업, 수해복구 설비 등 운송 차질 우려
현재 공로 운송 중단…수해복구용 운송 협조 요청

[한스경제=최정화 기자] 포스코가 지난 9월 태풍 힌남노 수해 피해와 관련해 각종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최근 연내 전체 제품 생산 정상화 계획을 밝혔으나 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하며 또다시 난항이 예상된다. 정상화 시기나 책임소재 논란 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올해 안으로 전체 제품 생산 정상화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라 업계안팎의 이목이 쏠린다.

지난 23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직원들이 2열연공장 복구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지난 23일 포스코 포항제철소 직원들이 2열연공장 복구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포항제철소는 현재 총 18개 압연공장 가운데 7개 공장이 정상 가동되고 있다. 연내 15개를 재가동해 전체 제품을 정상 공급한단 방침이다. 가동까지는 수년이 걸릴 거란 전문가들의 예상을 뒤엎는 성과다. 78일간 복구에 참여한 인력만 100만여명에 달한다.

한때 생산 정상화 시점과 책임소재를 놓고 정부와 포스코는 입장차를 보였다. 

지난 14일 산업통상자원부 철강수급 조사단은 내년 1분기까지 STS(스테인리스스틸) 1냉연공장, 도금공장 등 나머지 2개 공장이 재가동을 마치면 포항제철소의 제품 생산 설비는 피해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관측했다.

앞서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정상화 시점을 연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는 국내 산업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철강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에 도달하는 시점을 말한 것인데 정부가 발표한 정상화 시기 기준과 차이가 있어 다소 혼동이 일기도 했다.

산업부는 또 포스코의 미진한 대응을 지적하며 설비 보완을 권고했다. 특히 최 회장이 태풍 힌남노가 북상하던 당시 골프장과 전시회를 다녀온 사실이 밝혀지며 책임론까지 불거진 상황이다. 피해 복구 시점은 일단락됐지만 책임 소재를 놓고 산업부와 포스코 공방은 이어질 전망이다.

천시열 포스코 포항제철소 공정품질담당 부소장 전무는 지난 23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말까지 전체 제품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며 "이때까지 대부분 생산라인이 재가동되며 소수의 잔여 공정들도 내년 2월 중순까지 정상화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재가동에 돌입한 뒤 통상 5~6일 이내에 수율·품질 수준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때부터는 포항제철소가 침수 이전 모습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2열연공장의 제품은 일부 1공장으로 전환해 고객사의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주요 고객사들도 대형 배수 펌프를 지원하는 등 도움을 아끼지 않았다"며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도 2열연공장 복구에 쓸 열연공장용 설비를 인도 철강사 JSW의 사쟌 진달 회장에게 직접 요청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24일 현대중공업이 포항제철소 복구응원 커피차량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지난달 24일 현대중공업이 포항제철소 복구응원 커피차량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이 같이 수해복구 정상화가 이뤄지는가 했더니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 24일부터 화물연대가 전국적으로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포항철강공단 내 기업체들의 물류 운송은 물론 수해복구에 필요한 설비나 자재 반입에도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렇게 되면 포항제철소 정상화 시기에도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포스코 측은 "화물연대 파업으로 제품 출하보다 수해 복구에 필요한 자재나 설비 반입 제한이 더 염려된다"면서 "이 경우 수해복구 일정에 중대한 차질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재 공로운송은 중단된 상태다. 포스코는 수해 복구를 위한 설비 자재 반입이나 복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반출하는 목적의 화물차량 입출고는 가능하도록 화물연대 측에 협조를 요청하고 있지만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상황이다.

최정화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