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포스코지회 찬성 69.93%로 기업노조 전환
공공·민간부문 최근 3년간 민노총 잇달아 탈퇴…노조 입장·기업 특성 이유
사진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 노조원들이 지난달 24일 오전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 앞에서 열린 화물연대 서울경기지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사진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 노조원들이 지난달 24일 오전 경기도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 앞에서 열린 화물연대 서울경기지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김근현 기자 khkim@sporbiz.co.kr

[한스경제=김동수 기자] 최근 몇 년간 민간·공공부문 기업들이 입장 차이나 기업별 특성을 이유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을 잇달아 떠나고 있다. 여기에 이번 총파업을 두고 포스코 양대 노조 중 하나인 포스코지회가 기업노조로 전환하면서 민노총 탈퇴 러시가 가속화 될 전망이다.

◇ 포스코지회 조합원 69.93% 찬성…“노조 존재 이유 조직 기득권 유지 목적 아냐”

포스코지회는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조직형태 변경에 대한 조합원 재투표를 진행한 결과, 조합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됐다. 이번 투표에는 조합원 247명 가운데 143명(57.89%)이 참여했고 이 중 100명(69.93%)이 찬성표를 던졌다. 이로써 포스코 지회는 금속노조를 탈퇴하고 상위단체 없는 기업형 노조로 전환한다.

앞서 포스코지회는 조직형태 변경을 위한 찬반 투표를 시행한 바 있다. 지난 10월 31일 열린 제14차 임시대의원대회에 지회의 조직형태 변경을 안건으로 올렸고 이후 진행된 투표에서 조합원 264명 중 115명(66.86%)의 찬성을 얻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가 투표일 7일 전까지 공지해야 한다는 금속노조의 이의 제기를 수용하면서 재투표를 실시했다.

포스코지회는 “지회는 포스코 직원을 위해 일하고 포스코 직원의 권익 향상을 위해 존재한다”며 “하지만 금속노조는 포스코지회가 금속노조를 위해서 일하고 금속노조를 위해서 존재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포스코지회의 존재 이유는 조직의 기득권 유지가 목적이 아니고 직원을 위하는 것”이라며 “대다수 조합원은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변경을 찬성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한은·금감원·건설사 등 잇달아 민노총 탈퇴

사실 민노총을 탈퇴하는 현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20년부터 민간·공공부문의기업들이 민노총 을 떠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들이 갈라선 이유는 대부분 상급단체와의 입장차 또는 기업 특성 요인이 꼽힌다.

한국은행 노조는 지난 2020년 7월 상급단체인 민노총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를 탈퇴하기로 결의했다. 한은 노조는 지난 2016년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에 가입했다. 하지만 상급단체의 방향성과 맞지 않아 4년 만에 탈퇴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감독원 노조도 올해 4월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조를 탈퇴했다. 금감원 노조가 민노총을 탈퇴한 이유는 보험, 증권 등 금융회사 노조와 동일 산별노조에 가입돼 직원들의 독립적 감독업무 수행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진다.

민간 기업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GS건설과 쌍용건설 노조도 지난해 10월 민노총 건설기업노조를 탈퇴했다. 두 노조는 2012년 6월 건설기업노조 창립 때부터 함께했지만 산하에 함께 있는 건설노조와 플랜트노조와의 견해차가 컸던 게 탈퇴 이유로 꼽힌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도 지난 7월 민노총 금속노조 탈퇴 추진한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 노조는 금속노조가 하청지회 파업 해결에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조합원 투표를 진행했지만, 탈퇴 찬성률이 52.7%에 그쳐 부결됐다.

전문가들은 최근 공공·민간 기업에서 민노총을 탈퇴하는 이유로 강경한 투쟁과 기업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현실 꼽는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현재 파업 행태를 보면 너무 극단적인 부분이 있어 노조원은 물론 기업들도 불만을 많이 가지고 있다”며 “법과 원칙에 의해서 주장을 하는 건 좋지만 극단적인 방법 때문에 노조원들이 환멸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산별노조가 개별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고 기업마다 처한 상황도 다르다 보니 이러한 현상(민노총 탈퇴)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동수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