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지난해 공적자금 조기 상환에 이어 새 역사 만들 주인공은
사진 왼쪽부터 차기 26대 수협중앙회장 후보자인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 김덕철 통영수협조합장, 노동진 진해수협조합장 /수협중앙회
사진 왼쪽부터 차기 26대 수협중앙회장 후보자인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 김덕철 통영수협조합장, 노동진 진해수협조합장 /수협중앙회

[한스경제=박종훈 기자] 차기 수협중앙회장 선거 랠리가 시작됐다. 3파전으로 치러지며, 지난해 공적자금 조기 상환에 이어 추후 금융지주 체제 전환을 위해 중요한 발자국을 남길 리더가 요구되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지난 2월 1일까지 차기 26대 회장 후보자 등록을 마감하고, 3일에는 출사표를 낸 3인의 기호 선정도 마쳤다.

선거일은 오는 16일이며, 따라서 후보 등록을 마친 이들은 전날인 15일까지 선거운동을 진행한다. 선거인은 전국의 수협조합장 91명과 현 중앙회장 1명 등 모두 92명이다.

수협중앙회장의 임기는 4년 단임이기 때문에 현 임준택 회장에겐 당장 기회가 없다. 이번에 후보 등록을 한 이는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 김덕철 통영수협조합장, 노동진 진해수협조합장이다.

김임권 전 수협중앙회장은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24대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김덕철 통영수협조합장과 노동진 진해수협조합장은 지난 2015년부터 각각 지역수협을 이끌고 있다.

과거 60년대부터 80년대 후반까지 수협중앙회장의 선임은 정부가 낙점한 이들이 임명됐다. 그러나 1988년 당시 민주화 바람으로 수협인들에 의한 회장 선출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초대 민선 중앙회장인 14대 홍종문 회장을 필두로, 이들 역시 다수의 인물들이 불명예 퇴진한 바 있다. 지난 2010년 수협법 개정으로 중앙회장 단임제가 시행된 배경이다.

농협중앙회 역시 마찬가지로 비슷한 회장 선임의 '제도적 규제'가 지금까지 가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사회 일각에선 중앙회의 업무연속성 등을 감안해 연임제 부활과 조합장 이상 선거인만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간선제가 아닌, 조합원 직선제 도입 골자로 한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관련 법 개정 등의 절차가 뒤따라야 하는 만큼 아직 답보상태다. 과거 민선 회장 출범부터 양 조직 모두 상당 수의 회장들이 물의를 일으켰기에 사회 여론이 차가운 상태며, 연임·직선 회장이 중앙회 사업연속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 역시 그 근거가 대단히 모호하다.

결과적으로 차기 26대 수협중앙회장은 이후 중앙회장 선출 절차 변화를 만들어 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6대 회장이 물의를 빚지 않고, 성과를 내외로 인정받을 수 있어야 법 개정을 비롯한 변화를 만들어 가는 데 명분이 생긴다는 의미다.

특히 지난해 수협은 공적자금 조기 상환이라는 숙원 과제를 해결했기에 차기 회장의 어깨는 더욱 무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산업의 다종 다양한 플레이어들과 본격적인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재무적 성과 역시 올려둘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향후 2030년까지 수협 역시 금융지주회사 체제를 출범시키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기에 차기 회장의 역할에 더욱 무게감이 실리고 있다.

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