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차세대 이동수단 UAM 사업 주도위한 ICT 동맹 확대
상공 넘어 우주로…민간 우주 사업 새로운 기회로
유영상 SK텔레콤 CEO(오른쪽)와 조벤 비버트 조비 에비에이션 CEO(왼쪽)가 UAM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 사진=SKT
유영상 SK텔레콤 CEO(오른쪽)와 조벤 비버트 조비 에비에이션 CEO(왼쪽)가 UAM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 사진=SKT

[한스경제=김재훈 기자] 국내 ICT(정보통신기술)업계가 미래의 새로운 시장 하늘을 올려다보고 있다.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주목받은 도심항공교통(UAM)사업부터 민간 위성 등 우주사업까지 하늘과 우주를 넘나들며 미래 사회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UAM은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항공기나 무인 드론을 활용해 도심 상공을 새로운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차세대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우리나라에선 현대자동차가 2020년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 CES에서 미래 혁신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제시한바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40년까지 국내 UAM 시장 규모 13조원, 생산유발효과 23조원, 부가가치 11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도 2040년 글로벌 UAM 시장이 1조5000억달러(약 1816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UAM이 주목 받는 것은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한 교통량 증가와 물류 이동 효율성 감소, 운송비용 증가 등 사회적 문제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국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수도권은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밀집 중이며 전국 대도시 인구 집중도는 약 80%에 육박하고 있다. 이는 2050년 글로벌 기준 전망치인 68.4%보다 약 30년을 앞서고 있다.

과도한 인구 밀도로 유발되는 교통혼잡비용은 연간 38조50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 때문에 정부도 2025년 UAM 실용화를 목표로 법제도 정비 및 실증 사업에 나서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들이 사업 주도권 확보를 위해 나서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손잡고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 사진=LGU+
LG유플러스는 카카오모빌리티,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와 손잡고 국토교통부의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K-UAM GC) 실증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 사진=LGU+

UAM은 단순히 비행기가 이륙하고 착륙하는 것과 달리 자율주행, 5G 통신, 고정밀 지도, 플랫폼 등 다양한 기술들이 종합된 사업이다. 때문에 항공사와 완성차업체는 물론 수많은 ICT업체들이 뛰어들고 있다.

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각자 UAM 동맹을 결성해 사업 주도권 경쟁에 돌입했다. SKT는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등과 K-UAM 드림팀을 구성하고 비도심지역, 관광노선 등 저밀도 사업을 거쳐 2025년 도심지역 상용화를 목표로 실증 사업에 착수했다.

KT는 현대차, 현대건설, 인천공항공사, 대한항공 등과 손 잡고 UAM산업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가장 늦게 진출한 LGU+는 카카오모빌리티, GS칼텍스, 제주항공, 파블로항공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실증 사업에 참여한다.

통신 3사는 교통관리시스템과 안정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며 한국형 UAM 표준 수립은 물론 향후 UAM사업 관련 추가적인 사업 기회 공동 모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협력할 방침이다.

KT SAT 금산 위성센터 / 사진=연합뉴스
KT SAT 금산 위성센터 / 사진=연합뉴스

차세대 이동수단 UAM 외에도 민간 우주사업에도 이륙을 준비한다. 세계 우주 시장이 민간 주도의 뉴 스페이스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인공위성 영상 서비스나 초소형 인공위성 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인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위성 영상 시장은 2020년 26억달러(약 3조4000억원)에서 2030년 73억달러(약 9조4000억원)로 3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글과컴퓨터는 오는 26일(한국시간) 국내 첫 지구관측용 민간 인공위성 ‘세종1호’를 우주로 발사한다. 한컴은 위성영상 데이터 수요가 높은 농업 국가, 분쟁 국가 등이 많이 분포된 아시아 및 중동 지역을 우선 공략해 서비스해나갈 계획이다.

또한 하반기에 3호와 4호, 2024년에 5호까지 총 5기의 인공위성을 순차적으로 발사할 예정이며, 5년 내 50기 이상을 발사해 군집위성 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국내 유일 자체위성 보유 사업자 KT도 위성통신 계열사 KT SAT을 앞세워 차세대 위성기술 혁신을 통해 뉴 스페이스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KT SAT은 위성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초연결 시대의 차세대 핵심 통신망으로서 위성통신 역할을 다하겠다는 계획이다.

김재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