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덕 우리은행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한스경제 송진현] 우리금융 손태승 회장이 연임 도전의사를 접고 물러나겠다고 밝히면서 그의 4년 집권도 막을 내렸다.

그는 우리금융의 완전 민영화를 이뤄낸 1등공신이고 지난해 그룹 창립 이래 첫 3조원대 당기순이익도 눈앞에 두고 있다. 손 회장은 퇴진 입장문에서 “최근 금융권의 세대교체 흐름에 동참하겠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하지만 손 회장의 퇴진은 “손 회장이 현명하게 판단해달라”(이복현 금감원장) “라임사태 CEO까지도 책임 물어야 한다는 게 당국의 결정”(김주현 금융위원장) 등등 손 회장의 퇴진을 압박한 금융감독 당국의 관치 금융 결과라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에 진입한 시점에서도 구시대의 유물인 관치금융의 망령이 되살아 난 것이다.

이에 따라 회장 선임권한을 쥐고 있는 우리금융 이사회 멤버들이 관치금융의 외풍에 휘말려 손 회장을 지켜주지 못했다는 것에도 비난의 화i살이 겨누어지고 있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과점주주 체제다. 과점주주를 대표하는 사외이사로는 노성태(한화생명) 박상용(키움증권) 윤인섭(푸본생명) 정찬형(한국투자증권) 신요환(유진PE) 장동우(IMM프라이빗에쿼티) 등이 있다.

과점주주의 영향력을 등에 업고 사외이사로 들어온 인사들이 우리금융을 대표할 수 없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거론된다. 우리금융의 주요주주를 살펴보면 우리사주조합(9.8%) 국민연금(9.42%) 예금보험공사(1.29%) IMM PE(5.57%) 유진PE(4.0%) 푸본생명(3.97%) 한국투자증권(3.77%) 키움증권(3.33%) 등이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6월 보유지분 3.16%를 전량 매각했다. 이외에 기타 50.78%다.

우리금융 과점주주의 지분 총합은 20.64%에 불과하다. 그런데 민영화 과정에서의 반대급부로 이들 과점주주들에게 사외이사 선임권이 주어져 우리금융의 미래를 좌지우지할 수 있는 구조로 짜여져 있다. 이들 과점주주들도 정부의 눈치를 보지않을 수 없을 것이다.

손 회장이 퇴진함에 따라 차기 우리금융 회장으로 누가 선임될 것인지 관심을 모으고 있댜. 임원추천위원회 멤버를 구성하고 있는 우리금융 이사회는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인사도 추천받아 8명의 차기 회장 후보 롱리스트를 추린 것으로 전해진다. 외부인사로는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과 김병호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이 추천됐다.

우선적으로 외부 인사는 배제되는 것이 옳다. 세계적인 베스트 셀러인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의 저자 짐 콜린스는 이 책에서 실증적인 조사를 통해 외부에서 저명한 리더를 영입하는 것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단언했다. 그동안 국내에서 제기되어온 낙하산 인사의 병폐를 살펴봐도 쉽게 수긍할 수 있는 대목이다.

금융권의 한 고위 인사는 “외부에서 온 CEO는 내부 인사들을 잘 모르다보니 결속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전문성도 부족하고 임명 때부터 반대한 노조에 일방적으로 끌려다니기 십상이다. 특히 관료가 낙하산으로 올 경우 정부 임깁에 휘둘려 경영이 심각하게 훼손된다”고 말했다.

이런 맥락에서 본다면 우리금융의 핵심 계열사인 우리은행의 이원덕 행장과 박화재 우리금융지주 사업총괄 사장, 김정기 우리카드 사장, 박경훈 우리금융캐피탈 사장, 신현석 우리아메리카 법인장  등 내부 인사 중에서 차기 회장이 나와야 하는 것이 순리다. 신한금융의 경우 조용병 회장의 퇴진과 함께 진옥동 행장이 차기 회장으로 선임된 바 있다.

일부 차기 회장으로 거론되는 우리금융 내부 인사 중에는 퇴직자도 포함돼 있다. 우리금융은 퇴직자들이 복귀해 높은 연봉을 받아가는  ‘양로원’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퇴직 임원은 디지털 환경에도 익숙지 않다.

우리금융 사외이사들은 더 이상 외풍에 휘둘리지 말고 우리금융 내부 인사 중에서 차기 회장을 선임해야 한다. <한스경제 발행인> 

송진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