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한스경제 송진현] 우리은행 노조가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그가 우리금융지주 차기 회장에 선임되어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다.

우리은행 노조는 “임 전 위원장은 우리은행 민영화 때 금융위원장을 지내며 금융회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발표하고 당시 우리은행 민영화의 핵심 키워드는 자율경영임을 주장했다. 이런 인사가 우리금융 수장 자리를 노린다면 스스로 관치를 입증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이어 “우리는 외부 낙하산이 얼마나 조직 발전에 위해가 되는지 뼈저리게 경험한 바가 있으며 더 이상 전문성과 경험이 결여된 외부인사들의 보금자리로 추락시킬 수 없음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했다.

우리 국민들의 상식을 우리은행 노조가 대변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전직 관료가 정부의 영향력을 후광 삼아 민간 금융사의 회장이 되어서는 곤란하다는 점에 대다수 국민들은 수긍할 것이다.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은 8명의 우리금융지주 차기 회장 리스트에 올라있다.

손태승 현 회장이 금융 당국의 압박에 밀려 퇴진의사를 천명한 가운데 또다른 관치 논란을 불러올 수 있는 임종룡 위원장에 대한 비난 여론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형국이다.

행정고시에 합격해 기재부에서 관료생활을 시작한 임 위원장은 기재부 차관을 거쳐 국무총리실 실장을 지낸 인물이다. 2013년부터 2년간 농협금융지주 회장을 거쳐 2015년 3월부터 2년간 금융위원장을 역임했다. 누가 보더라도 그를 관료출신으로 여길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그가 우리금융지주 차기 회장 후보에 오르다 보니 관치금융 논란이 일고 있다. 우리금융이 관치금융에 휘둘리다 보면 조직의 발전보다는 정부 눈치보기에만 급급하다가 아까운 시간을 보낼 수 있기에 임 위원장에 대한 우려의 시선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임종룡씨는 지난 2016년 12월 금융위원장 시절 우리은행 전 임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우리은행은 이제 민간이 자율적으로 경영하는 새로운 시장 주체가 된 것으로 우리은행 민영화를 진심으로 축하한다"고 했다. 당시 우리은행의 정부 지분을 몇몇 기업에 성공적으로 매각하자 이같은 입장을 보인 것이다.

때문에 임 위원장 스스로도 우리은행의 전후 사정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본인 스스로 명예를 지키고자 한다면 우리금융지주 회장 후보에서 자진 사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장 선임권한을 쥐고 있눈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도 임 위원장을 차기 회장으로 선임하는 악수를 둘 경우 스스로 무덤을 파는 꼴임을 명심해야 한다. <한스경제 발행인>

송진현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