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수탁자 책임 명시한 가이드라인에 해당 내용 추가 반영
14일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관련 기관투자자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위원회
14일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관련 기관투자자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는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금융위원회

[한스경제=박종훈 기자] 금융 당국이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관련 기관투자자 간담회를 열고 정책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14일 금융위원회는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국민연금공단·공무원연금공단·우정사업본부 등의 주요 연기금과 자산운용사·보험사·증권사 등, 기관투자자 10개사·한국거래소·금감원·한국ESG기준원·자본시장연구원 등 유관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2월 26일 발표한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 중 기관투자자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스튜어드십 코드 반영, 코리아 밸류업 지수 개발 등에 대해 논의했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특히 스튜어드십 코드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기관투자자들이 투자대상회사에게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는 구체적 근거가 마련된 부분을 강조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이다. 기관투자자가 타인의 자산을 관리·운용하는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이행해야 할 7가지 원칙이다.

한국 스튜어드십 코드는 현재 4대 연기금과 125개 운용사 등을 포함해 222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이 언급한 내용은 7개의 원칙 중 세 번째인 '기관투자자는 투자대상회사의 중장기적인 가치를 제고해 투자자산의 가치를 보존하고 높일 수 있도록 투자대상회사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라는 내용이다.

한국ESG기준원은 스튜어드십 코드 가이드라인 개정으로 '투자대상회사가 기업가치를 중장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시행·소통하고 있는지 여부'를 기관투자자들에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명시했다. 즉 투자대상회사가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수 있는 구체적 근거를 마련한 것이다.

기존 개정 전 가이드라인에선 '기관투자자자는 지배구조, 경영전략 등 다양한 비재무 요소 중 회사의 중장기 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고 판단하는 사항을 중심으로 대상회사를 검토함으로써 점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라고 언급하고 있는데, 여기에 구체적 추가 사례를 명시한 것이다.

아울러 이날 간담회에선 한국거래소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코리아 밸류업 지수'와 관련한 해외사례 검토, 종목 선정의 기준안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

이는 기업가치 우수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지수며, 계량·비계량 항목에 대한 종합평가로 기업가치 제고가 기대되는 기업도 편입한다는 원칙으로 개발되고 있는 신규 지수다. 특히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 우수기업 등에는 편입 우대 혜택이 제공될 예정이다.

결국 어떤 기업이 지수에 편입될지 여부가 시장은 큰 관심거리다. 한국거래소는 이에 대해 "기존 주요 지수와의 차별화 방법, 구성종목 선정에 활용하는 지표의 적절성, 연기금의 적극적 활용 유도 등 주요 이슈에 대해 검토 중이며, 연기금·운용사 등 기관투자자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하면서 3분기까지 지수개발을 마무리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여한 업계 관계자들은 정책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 설계를 당국에 촉구하기도 했다.

박현상 공무원연금공단 주식운용팀장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근본적인 목적은 한국 자본시장 및 상장기업의 체질개선이기 때문에, 장기와 단기로 구분된 정책 아젠다가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헀다.

민간 운용사 관계자들은 참여 유인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밸류업 자문단 위원으로도 참여하고 있는 김두남 삼성자산운용 상무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계속적으로 발굴·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왕겸 미래에셋자산운용 센터장은 "일본 사례를 보더라도 장기적 시계에서 꾸준히 노력해야 할 과제이기 때문에,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에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실장은 "일본 사례를 보면 과거 아베노믹스부터 최근 동경증권거래소의 밸류업 노력까지의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일본공적연금(GPIF) 등 기관투자자의 적극적 참여와 외국인 자금의 유입이 주가지수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박종훈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