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026년까지 초·중·고급 디지털 인재 육성…규제완화 지원 
초·중등 교육 내 정보교과 수업시수 2배 이상 확대…코딩교육 필수화 
재학생·취업준비생·군인·지역민 등 교육 확대…'혁신·일자리' 동시 조준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 연합뉴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이 22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인재 양성 종합방안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스경제=김동용 기자] 정부가 오는 2026년까지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마련했다. 범부처 차원에서 분야별·수준별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며, 디지털 인재의 저변 확대를 위해 초·중등교육 단계부터 정보교육을 대폭 강화한다. 혁신적인 디지털화로 경제 위기와 청년 일자리 문제에 모두 대응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오석환 교육부 기획조정실장은 22일 교육개혁의 일환이자, 정부의 국정과제인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된 이번 안은 초·중등교육 단계부터 정보교육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향후 5년(2022~2026년)간 정부와 교육계·산업계가 모두 역량을 결집해 추진해 나갈 이행계획이라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디지털 분야 인재양성 규모는 지난해 정부 재정사업 기준 약 9만9000명(석·박사급 약 1만7000명)이다. 향후 5년간 인재 수요는 약 73만8000명(초급 9만명·중급 52만명·고급 12만8000명)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디지털 산업 분야뿐만 아니라, 일반산업 분야 및 사회 전 영역에서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어, 그 수요는 더 커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응해 정부는 다양한 수준의 100만 디지털 인재를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고도화된 디지털 전문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에서 제시된 정원기준을 유연화하고, 계약정원제 도입 등 고등교육 규제혁신을 디지털 분야에도 적용해 대학의 인재양성을 지원한다. 

또한, 디지털 혁신공유대학·신산업특화 전문대학·SW(소프트웨어)중심대학을 확대해 디지털 교육 선도대학을 육성하고, '4단계 두뇌한국21(BK21)' 사업 디지털 분야 대학원 확대를 통해 디지털 신산업 분야 연구중심 인재를 육성한다. 

아울러 영재학교·과학고의 SW·AI(소프트웨어·인공지능)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디지털 분야 마이스터고를 확대해 전문인재를 조기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대학 내에는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부트캠프를 신설하고, 시도별 우수 전문대학은 직업전환교육 기관으로 지정한다. 대학생뿐만 아니라,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SW·AI 역량 교육훈련도 제공한다. 

재학생·취업준비생의 디지털 교육훈련을 위해 기업이 주도하는 SW 교육과정 운영도 지원한다. 민간이 주도하는 'K-Digital Training(케이 디지털 트레이닝)'도 지속 추진한다. 군에서는 디지털 분야 취업 맞춤 특기병을 확대해 우수인재의 경력단절을 줄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부는 2026년까지 5년간 초급 16만명, 중급 71만명, 고급 13만명 등 총 100만 디지털 인재가 양성될 것으로 계산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 맞춤형으로 교육체제도 대전환한다. 먼저, 초·중등 교육 내 정보교과 수업시수(각 교과목을 이수하는 데 소요된다고 결정한 시간단위)를 2배 이상 확대하고, 학생 발달단계에 맞춰 코딩교육을 필수화한다. 국어·수학 등 다른 교과에도 활용 가능한 SW·AI를 융합한 프로그램을 보급한다. 

또한, 정보선택과목 확대·AI 교육 선도학교 확대 등으로 초·중등 교육 내에 디지털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온라인 교육·AI 융합 중심고 등 다양한 기저를 통해 고교단계의 공동교육과정을 지원, 고교학점제와 연계한 정보·컴퓨터 교과 이수기회를 확대한다. 

방학과 방과 후를 활용한 SW·AI 캠프도 추진한다. 지역과 학교의 여건에 따른 차별없는 디지털 교육 기회를 다각도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성인 디지털 문해 교육을 강화하고, 디지털 문제해결 센터를 통해 학교와 지역민에 다양한 교육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정부는 성인의 디지털 역량을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고 수준으로 높이고, 청소년의 디지털 역량과 교육 기회도 현재 수준보다 2배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실제, OECD의 국제성인역량평가(PIAAC),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등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16~65세)과 청소년(만 15세)의 디지털 역량(문해력) 수준은 OECD 평균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교육부 제공
교육부 제공

정보교과 시수 확대에 맞춰 정보교육 담당 교원도 배치된다. 대학에서는 민간 전문가 등을 유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며, 디지털 분야 교수·강사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공유한다는 방침이다. 

현직 교사·비전공 대학 교수들의 디지털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 지원도 추진한다. 또한,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는 교육환경 지원 조성을 위해 AI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고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도 확대 개발한다. 

오석환 기획조정실장은 브리핑 후 질의응답에서 '가장 크게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정책'을 묻자 "전 국민의 디지털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체제의 대전환, 또 하나는 타부처와 협업으로 인재 양성체계를 마련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오 실장은 "교육부가 인재양성의 총괄 조정기능을 맡는다"며 "타 부처인 과기정통부·고용부·산업부·중기부 등 다른 모든 부처들과 협업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역량을 양성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뿐만 아니라, 실제로 활동할 수 있는 공간까지 기업·민간·연구기관과 협업해 이뤄지는 그런 체계"라고 부연했다. 

브리핑에 동석한 교육부 관계자는 '초·중교 코딩교육 필수화와 수업시수 확대에 따른 관련 교원양성 방안은 마련됐느냐'는 질문에는 "일단, 초등과 중등이 구분되는 것 같다. 초등은 교대에서 교원 양성이 되고 있지만, 전 교과에 대해 가르칠 수 있도록 배우기 때문에 초등에 대한 수급은 크게 문제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중등에서 시수가 증대되면 양성 정원의 일부 증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양성기관. 시도교육청과 증원 방안에 대해 실무적으로 협의 중"이라고 답했다. 

교육부 제공
교육부 제공

 

김동용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