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철콘업계, 공사비 증액 요구하며 15개 현장 셧다운
건설사 "증액 수위 과도하고 근거자료 크게 부실"
철콘업계 "근거 확실...전부터 요구해도 건설사가 묵살"
서울 시내의 한 공사장. / 연합뉴스
서울 시내의 한 공사장. / 연합뉴스

[한스경제=서동영 기자] 레미콘 운송노조 파업이 극적으로 타결돼 건설사로선 안도의 한숨을 내쉬나 했더니 이번엔 수도권 철근콘크리트업계가 공사 중단을 선언했다. 건설사가 이들과 협상에 들어갔지만 타결점을 찾기가 쉽지는 않아 보인다. 

지난 11일 철콘업계가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며 일부 시공사와 공사현장을 상대로 셧다운에 돌입했다. 철콘업계는 급격한 건설자재 가격 인상과 코로나19로 인한 인력 수급난으로 인거비가 상승, 기존 수주한 공사비로는 공사가 어렵다는 입장이다. 

서울·경기·인천 철근콘크리트 사용자연합회(서경인 철콘연합회)는 12일 현재 13개 시공사, 15개 현장에서 공사를 중단했다. 서경인 철콘연합회 소속 회원사는 총 95개 회원사로 전국 733곳 공사현장을 맡고 있다.

당초 348곳 현장에서 공사비 증액을 요청했고 이중 60개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될 뻔했으나 지난 주말까지 협상을 끝낸 45곳이 제외됐다.

공사가 중단된 13개 현장은 GS건설(2곳)·삼성물산(1곳)·SK에코플랜트(1곳) 등 대형 건설사가  포함됐다. 해당 건설사들은 "빠른 공사재개를 위해 협상에 매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양쪽 입장 차가 상당해 협상 타결까진 쉽지 않아 보인다. 건설사는 철콘업계 공사비 증액 요구가 과도한 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A건설사 관계자는 "공사비 증액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많으면 40%까지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사비 증액 수위는 공사 현장마다 건설사와 철콘업체 협상에 따라 정해진다. 때문에 어느 현장에선 20%, 다른 공사장에선 30%가 늘어날 수 있다. 

건설사들은 또 철콘업체 증액 근거가 부실하다고 주장했다. B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자재 가격이 크게 올라 철콘업계의 공사비 증액 요구 자체는 이해된다"면서도 "하지만 왜 이 정도까지 올려야 하는지 납득할만한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물어보면 답변이 두루뭉술하다"고 한숨을 쉬었다.

철콘업계 요구를 받아들이면 건설사도 조합 등 발주처에 공사비 증액을 요청해야 하는데 철콘업계가 내미는 근거자료로는 발주처를 설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공사비 증액은 서울 둔촌주공처럼 자칫 시공사와 발주처 간 갈등으로 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철콘업계는 이를 반박한다. 충분한 근거가 된 자료를 바탕으로 증액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김학노 서경인 철콘연합회 회장은 "물가상승률 등 다양한 자료를 토대로 확실하게 계산된 자료를 통해 건설사에 증액을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히려 사태가 여기까지 온 데는 전부터 공사비 증액을 요구했음에도 이를 무시한 시공사의 소극적인 태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김학노 회장은 "지난해 11월 시공사에 공사비 증액 관련 공문을 보냈다. 지난 2월엔 100대 건설사 관계자들과 간담회도 하는 등 계속해서 증액을 요구했지만 시원하게 받아들인 건설사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셧다운이 가까스로 철회된 공사현장도 마냥 마음을 놓을 순 없다. 공사비 증액 여부를 놓고 건설사와 철콘업계 각자 상반된 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철콘연합회는 시공사가 증액을 약속했기 때문에 해당 현장들은 공사 중단을 철회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협상을 해보자는 것이지 공사비 인상이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부인했다. 철콘연합회는 약속한 공사비 증액이 이행되지 않으면 더 많은 현장에서 공사를 중단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편 철콘업체 공사 거부로 인한 건설현장 셧다운은 올해 들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지난 4월 호남·제주지역 업체들이 맡고 있던 모든 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됐다. 지난 5월 부산·울산·경남 철콘 하청업체 등이 공사 중단을 선언하기도 했다.  

서동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