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데이터센터 화재로 일상 서비스 대부분 ‘먹통’
전력 차단 상황서 서버 이원화 제대로 작동 못해
이용자 이탈·독점적 사업 규제 타격 불가피할 듯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 /사진=카카오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 /사진=카카오

[한스경제=김정우 기자] ‘국민 메신저’로 불리는 카카오톡을 비롯해 금융·모빌리티 등 일상생활에 밀접한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이 이틀간 마비됐다.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전력공급 중단이 원인이다. 이 같은 사고 상황에 대한 카카오의 대비가 미흡했다는 비난 여론과 함께 사실상 독점적으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해온 플랫폼 사업자 기능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15일 오후 3시 19분경 판교 SK㈜ C&C 데이터센터 전기시설에서 발생한 화재는 카카오 서비스 다수와 네이버 일부 서비스 등에 장애를 초래했다. 네이버는 검색, 뉴스, 쇼핑 등 서비스 등에 기능 오류가 발생했고 카카오는 카카오톡을 비롯해 카카오페이, 다음, 카카오T,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뱅크 일부 기능 등 대부분의 관계사 서비스가 먹통이 됐다.

SK C&C는 이날 오후 5시 50분경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으나 안전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고 진화 중이기 때문에 입주사 서비스에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일부 서비스의 백업 미비 등으로 장애가 지속되는 부분은 해당 서비스 제공사에서 설명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서비스 장애가 길어지면서 이용자 불만이 속출하는 가운데 데이터 백업·서버 이원화 등을 통한 대응은 서비스 운영 주체의 책임이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남궁훈·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이날 다음 공지사항과 페이스북, 트위터 등을 통해 “서비스 장애로 불편을 겪고 계신 모든 이용자분들께 고개 숙여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최대한 빠르게 서비스를 정상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사건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후 6시 이후에는 카카오 관계자를 인용한 일부 매체를 통해 “전원 공급이 재개되면 2시간 안에 서비스 완전 복구가 이뤄질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는 이튿날이 돼서야 부분적으로 복구되기 시작했으며 17일까지도 카카오톡 파일 전송 등 일부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 이어졌고 톡서랍, 메일 서비스 등은 서비스가 중단된 상태다. 사실상 서비스 완전 복구까지 이틀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있는 셈이다.

카카오와 같은 IT 서비스기업 대부분은 예기치 못한 문제 발생 시에 대비해 서버 이원화와 데이터 백업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사고 시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 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한다. 때문에 카카오 장애 첫날 많은 이용자는 길어야 몇 시간 내에 서비스가 재개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실제 복구가 지연되면서 불편을 초래했다.

카카오 측은 “모든 데이터를 국내 여러 데이터센터에 분할 백업하고 있으며 외부 상황에 따른 장애 대응을 위한 이원화 시스템을 갖고 있다”며 “이번 화재 발생 후 카카오는 즉시 이원화 조치 적용을 시작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실제 서비스 복구까지 긴 시간이 소요된 데 대해 업계에서는 “이원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는 해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아직 자체 데이터센터가 없는 카카오는 판교 SK C&C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운영 중이며 내년부터 자체 시설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문제는 카카오톡 메신저를 비롯해 카카오택시, 카카오드라이버(대리운전), 카카오뱅크·페이 등 서비스가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카카오톡은 무료 서비스로 국내 메신저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카카오택시, 카카오드라이버 등 모빌리티 서비스는 관련 업계 종사자들의 생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카카오뱅크와 같은 금융 서비스는 국가 규제를 받는 기간산업이기도 하다. 카카오톡, 카카오택시, 카카오뱅크 등은 각각 해당 업종 최다 이용자를 보유한 서비스다.

이 같은 상황은 카카오톡 출시 이후 지난 수년간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등 다양한 업종으로 이른바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계속해온 카카오가 지난해 기준 매출 6조원대 사업자로 외연 성장을 이룬 것에 비해 안전성 등에 대한 대응에는 부실했다는 지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사업 확장 과정에서 ‘골목상권 침해’ 논란으로 홍역을 겪기도 한 만큼 기업 이미지에 뼈아픈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이에 따른 카카오의 향후 사업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일부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카카오 서비스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대안 서비스로 라인, 텔레그램 등 타 메신저나 토스 등 금융 서비스로 넘어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또한 카카오가 민간사업자이지만 공공·민간기관 메신저 및 문서 서비스 등 사실상 전 국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만큼 국가적인 통제 범위에 있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오는 분위기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번 카카오 사태 원인과 피해 상황에 대한 파악에 나섰으며 개선안에 대한 정부 차원의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이번 사태에 대해 “민간기업에서 운영하는 망이지만 사실 국민 입장에서 보면 국가 기반 통신망과 다름이 없는 것”이라며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정부 차원의 개선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기업의 자율과 창의를 존중하는 자유시장경제 사고를 갖고 있지만 그것은 시장 자체가 공정한 경쟁 시스템에 의해 자원과 소득이 합리적으로 배분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며 “만약 독점이나 심한 과점 상태에서 시장이 왜곡되거나 더구나 이것이 국가 기반 인프라와 같은 정도를 이루고 있을 때는 국민의 이익을 위해 당연히 제도적으로 국가가 필요한 대응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김정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