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22대 총선의 최대 승부처는 수도권, 전체 성적표 좌우할 듯
與 떨어진 수도권 지지율, 野 인적 쇄신이 승부 핵심 요건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해 12월 29일 국회 민주당 대표실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해 12월 29일 국회 민주당 대표실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스경제=김호진 기자] 오는 4월 10일로 예정된 제22대 국회의원총선거까지 이제 100일도 남지 않았다. 남은 시간 정치권의 최대 화두는 '총선 승리'다.

여야 모두는 '의석수 과반 확보'를 목표로 제시했다. 역대 총선에서 수도권 승패가 여야의 전체 성적표를 좌우한 만큼, 인적 쇄신을 승부의 핵심 요건이라고 보고 본격적인 물갈이 경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여야 지도부는 신년인사 행보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총선 모드에 돌입했다. 여야에 총선 승리의 의미는 사뭇 다르다. 먼저 집권 3년 차를 맞은 윤석열 정부를 뒷받침하는 국민의힘 입장에서 총선 승리는 국정운영 주도권이다.

2년간 여소야대의 조건을 겪은 정부·여당은 현재 112석에서 더 많은 의석수를 확보할 수 있다면 사실상 선전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총선 패배는 대통령 남은 임기 동안 치열한 정쟁에 빠질 수 있는 만큼. 21대 국회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총선 승리를 발판 삼아 정권을 되찾는 게 궁극적인 승리라고 할 수 있다. 민주당의 경우는 167석을 지키거나 늘린다면, 정권 교체의 확실한 신호탄을 쏘아올리는 격이 된다. 다만 과반 달성에 실패하면 정국 주도권을 뺏기게 되는 것은 물론, '이재명 대표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의구심이 제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여야의 총선 승리는 곧 차기 대권주자를 향한 지지도를 뜻하기도 한다. 22대 총선의 최대 변수는 물론 '수도권 민심'이다. 21대 총선을 기준으로 서울· 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의석수는 총 120석이다. 지역구 의석(253석)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전체 의석(300석)의 3분의 1을 넘는다. 여야 모두 텃밭을 제외하고 수도권 표심을 잡아야 승리할 수 있다.

국민의힘은 지난 21대 총선에서 수도권 121석 중 16석을 얻는 데에 그친 바 있다. 하지만 현재 상황도 그리 녹록치 않다. 수도권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대체로 30%대 갇혀 있는데, 미니 총선으로 불렸던 지난해 10월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민주당에 크게 패배한 것이 이를 증명하는 것이다.

21대 총선에서 수도권 표심 103석을 휩쓴 민주당은 이번 총선에서 어떤 성적을 낼지는 미지수다. 지난 대선 당시 윤 대통령이 서울 25개구 가운데 14곳에서 승리하는 등, 수도권에서 격차를 어느 정도 좁혔다는 분석이 나왔지만 지지율이 30%에 갇혀 있는 만큼, 투표를 진행해봐야 알 일이다. 

두 정당 모두 리스트를 안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건희 여사 특검', 민주당은 '사법 리스크'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이 대표는 대장동·위례·백현동 개발 비리와 프로축구 성남FC 불법후원 등 총선 전까지 법정에 출석해야 한다.

이 대표는 2일 오전 부산 가덕도 신공항 부지를 방문 중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남성으로부터 흉기로 공격을 당해 부산대병원에서 응급 치료를 받은 뒤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갑작스런 피습 사건으로 법정 출석은 당분간 어렵게 됐다. 당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재판 일정이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있다. 일정도 일정이지만 선거 전 선고가 나는 점이 최대 변수다.

여야 모두 인적 쇄신을 바탕으로 총선에 나서는데, 공천 잡음을 최소화 하는 게 지도부의 큰 고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의힘은 현역 의원의 최소 20%를 공천에서 배제할 방침이고, 민주당도 최소 30명을 물갈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기존 당에서 분열된 신당과 이른바 제3지대 세력, 중도층, 부동층 등 유권자들에게 얼마나 호소력을 가지느냐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호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