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래 단국대 명예교수가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서울 호텔에서 열린 '시총 200대 기업 ESG 평가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대성 기자 dpdaesung@sporbiz.co.kr 2024.02.15.
조명래 단국대 명예교수가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머셋팰리스서울 호텔에서 열린 '시총 200대 기업 ESG 평가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최대성 기자 dpdaesung@sporbiz.co.kr 2024.02.15.

[한스경제=권선형 기자] 조명래 단국대 명예교수(전 환경부 장관)는 ESG행복경제연구소가 진행한 ‘시총 200대 기업 ESG평가’에 대해 수요자인 기업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고 있어 긍정적인 평가를 내 놓으면서도 "공급망 관리 평가와 같은 지표 개발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조 교수는 지난 2월 서울 종로 서머셋팰리스서울 2층 회의실에서 열린 ‘ESG 자문위원단 정례 회의’에서 이같이 평가하고 “ESG경영 평가를 참고하는 수요자 입장에서는 평가기준에 대한 신뢰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ESG, 탄소중립 정책 열기가 식어가는 것에 대해서는 “단순한 정책 이슈가 아닌 실질적으로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미래 먹거리 문제로 인식하고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과 ESG 경영을 실현하지 못하면 향후 국내 기업들이 수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겨 국내 경제와 산업, 나아가 사회 문제까지 번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탄소중립이나 ESG가 규범적으로는 환경 문제지만 현재 세계 트렌드를 보면 사회 경제 리스크가 됐다”며 “정부는 이런 관점에서 더 넓게 보고 긴 호흡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데 오히려 정체돼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ESG와 탄소중립은 정권에 따라 정치적 해석을 달리해서 적용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후 정책은 국민이 먹고사는 실질적인 문제라는 인식이 중요하다”며 “시민들의 의식이 최근 많이 높아졌기 때문에 정부의 정책이 갑자기 바뀌면 그동안의 노력이 물거품 되고 다시 쌓기는 힘들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특히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에 대해 깊은 우려감을 나타냈다. 조 교수는 “현재 정부의 원전 정책은 장기 비전을 갖추지 못했다”고 평가하며 “원전을 새로 지으려면 긴 시간이 필요한데 정작 2030년이 넘으면 원전이 재생에너지보다 비싼 에너지원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원전은 전통 에너지원과 재생에너지를 연결하는 연결에너지로는 충분하지만 미래의 주류 에너지로 가져가는 것은 상당히 우려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탄소중립, ESG 트렌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미국 대선을 꼽았다. 조 교수는 “트럼프가 당선되면 미국 환경 정책이 많이 후퇴하는 심각한 수준까지 갈 것으로 전망한다”며 “미국은 중국 다음으로 탄소배출을 많이 하는 나라인데 트럼프가 당선되면 그동안 주요국들의 탄소중립 노력이 물거품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트럼프 당선은 세계 실물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 정부와 기업도 심각하게 바라보고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권선형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