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비만 진료 2017년 1만4966명, 2021년 3만170명으로 2배 이상 ↑
고도비만이면서 고혈압·당뇨병 합병증 있으면 수술 고려

[한스경제=홍성익 보건복지선임기자] 비만으로 인해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매년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5년간 국내 비만 치료 환자가 2배 이상 증가했다. 2017년 1만4966명에서 2021년 3만170명으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중 비만으로 입원한 환자의 비중도 병원 진료 환자의 5%까지 차지하게 됐다.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 이혜준 교수가 진료하는 모습./제공=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 이혜준 교수가 진료하는 모습./제공=중앙대병원

중앙대병원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 이혜준 교수는 “최근 들어 비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다이어트를 위해 병원에까지 가야 하나 생각할 수 있지만,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 되는 대사증후군 질환으로 여러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병원에서 진료를 통해 체계적인 치료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비만으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으로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으며, 위장관계질환, 통풍, 골관절염, 각종 비뇨생식기계질환, 암(유방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전립선암, 대장암 등)의 위험도 높아진다.

연구에 따르면 비만할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데 체질량지수가 1kg/㎡ 증가할 때마다 20%씩 높아지며 정상 체중보다 비만해지면 당뇨병 발생 위험이 5~13배 높아진다.

또한 비만인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이상지질혈증의 위험이 2배 높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으며, 비만 단계가 진행할수록 정상 체중인 사람에 비해 고혈압이 동반될 위험이 남녀 각각 2.5배, 4배 더 높다.

비만은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높일 뿐 아니라 고혈압, 심부전, 폐색전증, 뇌졸중,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에 의한 사망률과 관상동맥질환 자체에 의한 사망 위험도 높인다. 비만한 사람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64% 더 높다는 보고도 있다.

이혜준 교수는 “최근 여러 연구에서 비만이 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25년간 추적연구 결과 비만으로 인한 남성 암 사망자가 약 14%, 여성 암 사망자는 20%였다”며,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한 추적연구에 따르면 대장암, 간암, 담도암, 전립선암, 신장암, 갑상선유두암, 소세포폐암, 비호치킨림프종 및 흑색종의 발생 위험이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아울러 비만한 경우 비알코올성지방간, 위식도역류질환, 천식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고 관절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이 증가해 골관절염을 유발하며, 특히 무릎 골관절염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자주 발생한다.

이렇듯 만병의 근원이 되는 비만은 병원에서 전문의에 의한 체계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비만 치료방법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의 생활습관개선 치료, 약물치료, 수술치료가 있는데, 비만 치료를 위해서 비만의 정도 및 동반 질환 등을 확인하고 개별적인 맞춤형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병원에서의 비만 치료를 위해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를 측정해 비만 정도를 평가하고, 비만의 원인이 되는 각종 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을 확인하며, 식이, 운동, 수면 등 생활습관, 스트레스, 우울 증상 등을 조사해 치료 전 건강 위험도를 평가한다.

이혜준 교수는 “비만 치료를 시작할 때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체중 감량 목표를 상의해 세우고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행동치료를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외과 비만대사수술클리닉 김종원 교수가 수술을 집도하는 모습/제공=중앙대병원
외과 비만대사수술클리닉 김종원 교수가 수술을 집도하는 모습/제공=중앙대병원

◇고도비만 환자, 일반 치료 효과 3%↓…수술도 고려해야

중앙대병원 외과 비만대사수술클리닉 김종원 교수는 “국내에서 체질량지수(BMI) 35kg/㎡ 이상이거나 30kg/㎡ 이상이면서 고혈압, 당뇨병 등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돼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며, “고도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으로 사망 위험이 높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는 인식을 갖고 식이요법이나 운동, 약물치료 등으로 체중 감량이 어려운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만대사수술에는 위소매절제술, 루와이위우회술, 조절형위밴드술 및 담췌우회술/십이지장전환술은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표준 수술이며, 기타 수술로는 축소위우회술, 절제루와이위우회술, 위소매절제술-십이지장회장우회술, 위주름형성술 등을 시행하기도 한다.

김종원 교수는 “고도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으로 사망 위험이 높아 적극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며, “특히, 고도비만 진단 환자는 식이요법과 약물요법 등의 치료에 조금이라도 반응하는 비율이 3% 미만에 불과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가장 확실하고 유일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건강보험 적용으로 국내의 고도비만 수술 건수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지만, 여전히 전체 고도비만 환자의 수술 비중은 0.17% 수준에 불과하다.

홍성익 기자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