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매출 67조7800억원...연구개발 및 투자 지속
D램 흑자 전환, 파운드리 2023년 최대 수주 달성
DX·MX 두 자릿수 수익성…VD 고부가 제품 중심 판매구조 개선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67조7800억원, 영업이익 2조8200억원의 2023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67조7800억원, 영업이익 2조8200억원의 2023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한스경제=조나리 기자]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으로 매출 67조7800억원, 영업이익 2조8200억원의 2023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연간으로는 매출 258조9400억원, 영업이익 6조5700억원을 기록했다.

연말 성수기 경쟁이 심화되면서 스마트폰 출하량은 감소했지만 메모리 가격 상승과 프리미엄 디스플레이 판매 호조로 매출은 전분기 대비 0.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세트 제품 경쟁이 심화되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효과가 감소한 가운데 메모리 실적이 큰 폭으로 개선됐다. 또한 디스플레이 호실적이 지속돼 전분기 대비 3900억원 증가한 2조8200억원을 달성했다.

연구개발비는 적극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며 분기 최대 7조5500억원을 기록했다.

DS(Device Solutions)부문 매출은 21조6900억원, 영업이익은 영업손실 2조1800억원을 보였다.

메모리는 고객사 재고가 정상화되는 가운데 PC 및 모바일 제품의 메모리 탑재량이 증가하고 생성형 AI 서버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요 회복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HBM(High Bandwidth Memory) △DDR5(Double Data Rate 5) △LPDDR5X(Low Power Double Data Rate 5X) △UFS4.0(Universal Flash Storage 4.0) 등 첨단공정 제품 판매를 대폭 확대했다.

그 결과 시장을 상회하는 비트 그로스(비트 단위로 환산한 생산량 증가율)를 기록했으며, D램은 재고 수준이 큰 폭으로 개선돼 4분기 흑자 전환을 달성했다.

파운드리는 고객사 재고 조정과 글로벌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서 실적 부진이 지속됐으나 연간 최대 수주 실적을 달성했다.

DX(Device eXperience)부문은 매출 39조5500억원, 영업이익 2조6200억원을 기룩했다.

MX(Mobile eXperience) 부문 스마트폰 시장은 인플레이션 및 불안정한 국제 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소폭 성장했다.

4분기는 신모델 출시 효과가 둔화되면서 스마트폰 판매가 감소해 전분기 대비 매출 및 이익이 감소했다. 다만 태블릿 제품은 프리미엄 신제품을 중심으로 출하량이 증가했으며 웨어러블 제품도 연말 성수기를 활용해 견조한 판매를 유지했다.

VD(Visual Display)의 경우 전반적인 TV 시장 정체와 경쟁 심화에 따른 제반 비용 증가로 전년 및 전분기 대비 수익성은 소폭 감소했다.

삼성전자는 △Neo QLED △OLED △75형 이상 대형 TV와 같은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지역별 성수기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판매 구조를 개선했다. 생활가전은 시스템에어컨 중심으로 B2B 사업 성장과 프리미엄 제품의 판매 비중이 개선됐으나 수요 역성장 속에 경쟁이 심화되면서 실적은 둔화됐다.

하만 부문은 매출 3조9200억원, 영업이익 3400억원을 보였다. 하만은 소비자 오디오 제품의 성수기 판매가 증가해 매출이 증가했으며 연간 기준 전년 대비 성장이 지속됐다.

SDC부문은 매출 9조6600억원, 영업이익 2조100억원이다. 디스플레이는 중소형 패널의 경우 고객사 신제품에 적기 대응하고 하이엔드 제품 비중을 확대해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대형패널의 경우 경기부진으로 수요 약세가 지속됐으나 연말 성수기 TV 판매 증가로 매출이 증가하고 적자폭이 완화됐다.

4분기 시설투자는 16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사업별로는 DS 14조9000억원, 디스플레이 8000억원 수준이다. 연간으로는 지난해와 동일한 수준인 53조1000억원이며 DS 48조4000억원, 디스플레이 2조4000억원이 집행됐다.

조나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