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요약 박두선 사장 “회사는 주주, 채권자, 경제적 이해관계자 고려해야”
칼‧가위 든 원청 직원 3500여 명 맞불집회 “애사심이 발로한 것”
질의에 답변하는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 / 연합뉴스 
질의에 답변하는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 / 연합뉴스 

[한스경제=박수연 기자] 국회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선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사장이 하청지회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과 박 사장의 자진사퇴 여부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박두선 사장은 지난 5일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하청 노조를 대상으로 한 손배 청구에 대해 “법원이 판단 할 것”이라고 말하며 사실상 소송을 이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는 지난 6월 2일 파업에 돌입했다. 당시 노조가 요구한 것은 임금 30%인상과 노조 전임자 인정 등이었다. 하청 노조는 옥포조선소 1번 독을 점거해 대우조선해양은 창사 이래 처음 진수 작업이 중단되기도 했다.

7월 22일 협력사협의회와 하청지회의 합의로 51일 간의 파업은 종료됐지만 사측은 8000억원 가량의 손해가 발생했다며 하청노조를 상대로 470억원 규모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진행했다.

협상 당시 하청노조는 대우조선에 ‘민형사상 책임을 묻지 말 것’을 요구했지만 대우조선은 배임혐의로 소송 당할 수 있다는 이유로 손배소를 진행한 것이다.

유최안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부지회장은 국정감사서 “저희가 파업을 한 이유는 깎인 임금을 되돌려 달라는 것인데 도적질 비슷하게 비유하는 것은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한다”며 “대우조선에 따르면 저희가 시간 당 6만3000원 정도의 임금을 받는다고 하는데 저희는 최저시급 아니면 만 원 정도 받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러면 오만원 정도가 어디론가 증발하고 있단 것인데, 만 원 받는 사람들이 황건적이면 어디선가 오만원 받는 사람들은 뭐라 불러야하나”고 덧붙였다.

이은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우조선해양에서 주장한 ‘51일’의 기간도 부풀려졌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6월 11일부터 쟁의는 하청노조가 현행 노조법에 따라 합법적으로 쟁의한 것”이라며 “증인(박두선 사장)은 점거 농성 기간 31일 만이 아니라 쟁의기간 전체인 51일에 대해 손해배상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손해배상 470억원을 다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해 청구한 것이냐”고 질문했다.

이에 박두선 사장은 “회사가 손해가 발생한 이상 회사는 주주와 채권자, 거래당사자, 경제적 이해관계자들을 고려해 의사결정을 해야한다”며 “준법 경영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법률전문가의 조력을 받아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하게 됐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불법행위여부와 손해 금액에 대한 판단은 법윈이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 의원은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주주들 생각해서 그냥 청구한거다’ 이 말씀이냐”고 재차 질문했고, 박 사장은 “현재로서는 받을 수 있다 없다 판단할 수 있겠지만 미래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며 횡설수설 했다.

하청노조의 파업에 대응해 대우조선해양 직원 3500여 명이 맞불집회를 벌인 것이 회사의 지시냐는 질문에는 ‘애사심의 발로’라고 했다.

지난 7월 대우조선해양 임직원 3500여 명은 하청노조의 불법 파업 중단과 정부의 엄정 대응을 촉구하는 맞불 집회를 열었다. 하지만 전성준 의원이 국감서 공개한 사진에는 대우조선 원청 직원들이 칼, 가위 등을 소지한 모습과 안전모에 ‘인사 2부’ 등 문구가 적혀있었다.

이에 전 의원은 “인사, 총무팀에서 자발적으로 농성장을 철거한 것이냐”며 “직원 3500여 명이 모두 근무시간에 조퇴 신청을 했는데, 다 허가해준 것이냐”고 묻자 박 사장은 “그건 각 부서장이 알아서 한 것으로 안다”며 “불법점거로 이미 할 일이 없었다”고 말했다.

박두선 사장의 자진 사퇴 여부도 쟁점으로 떠올랐다.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은 “노동조합이 한화 측에 박 사장 임기 보장을 요구한 것은 모종의 공생관계 때문이냐”고 묻자 박 사장은 “노조 요구를 이해하기로는 낙하산이 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안다”고 답했다.

이에 이 의원은 “낙하산은 본인이 사장으로 선임됐을 때 논란이 있었다”고 꼬집었다. 박두선 사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 동생의 대학 친구로 사장 선임 시 인사 논란이 일었던 바 있다.

인수자인 한화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거취 표명할 생각이 없느냐는 질문에는 “어느 회사가 인수하든 그 회사가 판단할 문제”라며 사실상 자진 사퇴 거부 의사를 밝혔다.

지난 7월 박두선 사장과 대우조선해양 경영진들은 사과문을 통해 “위기를 조속히 극복하고 모든 경영진이 거취를 포함해 책임을 지겠다” 고 밝히며 퇴진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이번 국정감사를 통해 입장을 바꾼 것이다.

박수연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한스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